![반도체 관련 이미지 [출처=픽사베이]](https://cdn.ebn.co.kr/news/photo/202411/1643519_654922_5644.png)
글로벌 빅테크와 국내 반도체 기업의 인력난을 염두한 줄다리기가 한창이다. 다가올 반도체 인력난 대비와 신기술 확보 등을 통해 미래 먹거리 선점을 위한 초석 다지기에 본격 돌입한 것으로 풀이된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등에 따르면 오는 2031년 국내 반도체 시장의 인력난이 심화되면서 반도체 인재는 약 30만명이 부족할 전망이다. 반도체 인재 부족은 2019년 1579명 수준이었던 것이 2020년 1621명, 2021년 1752명으로 소폭 증가하는 수준에 그쳤지만, 오는 2031년에는 30만4000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 인재 부족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동일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전자정보기술협회는 일본 반도체 기업이 향후 10년간 4만명의 인력 부족에 시달릴 것으로 봤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는 오는 2029년까지 미국 반도체 인력이 14만6000명 부족할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인재 유치를 위한 러브콜은 다양하다. 최근 마이크론테크놀로지는 메모리 선두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반도체 엔지니어들을 대상으로 전방위적인 이직 제안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 증가에 따른 첨단 메모리 반도체 호황 기대감에 해당 인력 비중을 늘리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인공지능(AI) 시대 도래에 따라 첨단 메모리 수요가 확대된 만큼, 향후 반도체 인재 유치를 위한 인재 쟁탈전은 보다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크론이 엔지니어들에게 내 건 조건은 원천징수 기분 연봉의 최저 10% 최고 20% 수준의 인상책이다. 대만의 소득 수준과는 별개로 엔지니어가 요구하는 처우와 함께 주거지 제공 등 최대한의 복지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근무 예정지는 대만 린커우, 타이중 팹 등이다.
인재 유치에 집중하는 이유는 극자외선(EUV) 노광설비 때문이다. HBM 공정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EUV 장비의 활용도 확대를 위해 관련 엔지니어들을 섭외 중인 것으로 풀이된다. 마이크론은 메모리 3위 기업이지만, EUV 경험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앞서 마이크론은 올해 8월 대만 디스플레이 제조사 AUO의 공장 2곳을 인수, HBM 클린룸을 확보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10월에는 클린룸을 확보와 함께 향후 1년 간 2000명 이상의 직원을 추가 채용해 기존 대만 팹 인력을 확장시키겠다는 계획을 공개하기도 했다. 이번 경쟁사 엔지니어 러브콜도 이에 연장선인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을 알리바바도 실림콘밸리 인근 서니베일에서 AI팀을 모집, 미국 지사 등을 확장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알리바바는 챗GPT 개발사 오픈AI를 비롯해 미국 주요 IT기업에서 근무한 엔지니어와 제품 관리자, AI 연구원에게 집중적으로 접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응용 과학자, 머신러닝 엔지니어, 마케팅 메ㅐ니저 등도 공개 채용을 통해 충원에 나섰다.
현재 중국 기업은 AI 모델 개발에 필수적인 첨단 엔비디아 AI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금지한 미국 정부의 조치로 타격을 입었다. 다만, 중국 기업과 관련 있거나 중국 기업이 소유했지만 미국에 기반을 둔 업체는 미국 데이터센터를 통해 최첨단 AI칩에 접근 가능하다.
업계는 인력이 부족한 만큼 경쟁사의 엔지니어 빼내기 유혹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관계자는 “산업이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연관 기술에 대한 숙련도가 높은 엔지니어들은 상대적으로 몸값이 비쌀 수밖에 없다”면서도 “다만 이를 통해 한국의 기술 유출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라고 우려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반도체 인재들이 떠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경제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국내 기업이 해외로 나가서 사업을 하는 것보다 국내외 기업이 한국으로 들어와서 사업을 하도록 유치해, 이를 통한 반도체 인재를 확보하는 것도 실효성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위해서는 국내외 기업들이 해외가 아닌 국내에서 반도체 사업을 영위하는 것에 대한 유인책이 필요할 것”이라면서 “현재까지는 기업 입장에서 해외 대비 국내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것에 대한 부담이 큰 상황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