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본사 [제공=SK텔레콤]](https://cdn.ebn.co.kr/news/photo/202412/1645169_656871_5526.jpeg)
SK텔레콤이 2025년 조직 개편 및 임원인사를 5일 단행했다.
글로벌 AI 컴퍼니로서 가시적 성과 창출을 위한 조치다.
유영상 CEO는 “2025년을 ‘통신’과 ‘AI’를 중심으로 전사 역량을 결집해 핵심 사업 영역 별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어 내는 ‘실행’의 해로 만들겠다”며 “이번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에서는 비전 달성을 위한 실행 중심 체제로 조직을 재정비함과 동시에 ‘통신’과 ‘AI’ 등 사업과 현장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하는 데 주력했다”고 밝혔다.
■ ‘통신 본원적 경쟁력’과 ‘AI 실행력’ 강화 위한 7대 사업부 체계 구축
올해 AI 피라미드 전략 구체화를 통해 AI 영역의 성장 토대를 마련한 SKT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실질적 성과를 내기 위해 ‘통신’과 ‘AI’를 두 축으로 하는 7대 사업부 및 이를 지원하는 공유 인프라군(群)과 스태프군으로 조직을 재편했다.
7대 사업부 중 △MNO사업부 △B 유선/미디어사업부 △엔터프라이즈사업부는 통신사업의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에이닷사업부 △GPAA(글로벌 퍼스널 AI 에이전트)사업부 △AIX사업부 △AI DC(데이터센터)사업부는 AI사업의 실행력을 높여 실질적 성과를 창출한다.
특히, B2B 사업은 △엔터프라이즈사업부 △AIX사업부 △AI DC사업부로 재편해 영역 별로 전문화하고 SKT-SKB-SK C&C의 시너지를 기반으로 사업 경쟁력을 극대화한다.
엔터프라이즈사업부는 메시징, 광고/데이터, PASS/인증, 페이먼트 등B2B향(向) 사업을 통합 수행한다. AIX사업부는 SKT-SK C&C 통합 역량을 활용해 AI 업무혁신, AI 인텔리전스, AIX 클라우드, AI 팩토리 등의 영역에서 그룹 내 의미 있는 AI 활용 사례를 만들고 글로벌 및 국내 시장으로의 확장을 추진한다.
AI DC사업부는 차세대 반도체, 친환경 에너지 등 그룹 솔루션 패키지 및 경쟁력을 기반으로 AI 데이터센터 및 GPU 클라우드 서비스(GPUaaS) 사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SKT는 7대 사업부를 필두로 궁극적으로는 통신과 AI의 융합을 추구한다.
■ AI R&D 및 AT/DT 역량 결집 통한 기술 경쟁력∙실행력 강화
SKT는 산재된 기술 조직을 결집해 글로벌 AI 컴퍼니 도약을 위한 기술 경쟁력과 AT/DT 실행력을 강화한다.
SK AI R&D센터는 AI 모델링, 비전 AI, 디지털 트윈, AI 팩토리 등 AI 기반 기술 영역에서 사업을 밀착 지원하고, 나아가 그룹 AI R&D 영역을 통합 지원한다. AT/DT센터는 SKT-SK C&C 간 역량 결집을 통해 전사 AT/DT 실행력 강화한다.
■ 신속하고 기민한 의사결정을 위한 조직 단계 축소
SKT는 여러 조직에 나눠져 있던 기능을 통합해 전사 조직 단계를 4단계로 축소했다.
이 과정에서 사업부 조직은 ‘본부’로 스태프 등 지원 조직은 ‘실’, R&D 조직은 ‘랩’으로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구분했다. △SKMS실천실 △O/I추진실 △고객가치혁신실 △ESG추진실은 CEO 직속으로 편제해 주요 과제에 대한 추진력을 강화했다.
특히, 기업의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O/I 조직을 신설, 글로벌 AI 컴퍼니로의 진화 발전을 위한 체질 개선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 과감한 세대교체 및 통신∙AI분야의 기술∙R&D 인재 중용
SK텔레콤은 “2025년 임원인사를 통해 3명을 신규 임원으로 선임한다”며 “신규 임원은 실력은 물론 통신/AI 기술 경쟁력 강화와 사업/현장 중심 역량 결집을 실행할 수 있는 검증된 젊은 인재 위주로 선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를 통해 SKT는 지속적인 기업 체질 개선을 진행하고 통신 사업의 내실을 다지며, AI사업의 가시적 성과를 만들어 내 글로벌 AI 컴퍼니 달성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 전입 임원 (3명)
▲ 박준 AI 인텔리전스사업본부장 겸 AIX 테크본부장
▲ 김도엽 준법경영법무실장 겸 이사회사무국장
▲ 김민호 HR센터장
▣ 신임 임원 (3명)
▲ 강은경 MNO사업부MNO기획본부장
▲ 류탁기 네트워크 인프라센터 인프라기술본부장
▲조정민 SKB AI DC사업부 AI DC기획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