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연합뉴스

탄핵 정국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이 한국 경제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원달러 환율도 1400원이 고착화되는 모습이다. 

10일 신용평가 업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비상계엄과 탄핵 국면이 지속될 경우 국가 신용도와 관련 기관들의 등급 하락 가능성을 경고했다. 이는 산업 전반의 유동성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인 S&P, 피치, 무디스는 일제히 한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을 주요 위험 요소로 평가했다. 

S&P는 "비상계엄 사태 자체의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도 "장기화할 경우 국가 신용등급에 부정적 전망이 붙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피치는 "정부 역량 저하 가능성"을 제시하며 사태 해결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현재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은 S&P에서 'AA', 피치에서 'AA-', 무디스에서는 'Aa2'로 평가되고 있으며, 한국산업은행 등 국책은행 역시 동일한 등급을 유지 중이다. 

그러나 탄핵 정국이 심화되면 국책은행들 역시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다. 낮은 금리 자금조달이라는 국책은행의 주요 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환율 시장 또한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지난 한 주간 원·달러 환율은 24.5원 상승하며 1400원대를 이어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당시 환율은 1443.85까지 치솟았으나 이후 계엄 해제로 다소 진정됐다. 그러나 야당이 탄핵안을 발의하면서 다시 변동성이 확대된 바 있다.

역사적으로도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원·달러 환율은 각각 약 50원과 100원의 큰 변동 폭을 기록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중장기적인 경제 지표에는 제한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한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중장기 영향은 거의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환율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투자업계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당분간 확대될 여지가 있고 이는 금융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내년 상반기까지 원달러 환율이 1450원까지 움직일 가능성도 거론된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정부와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시장 안정 조치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인 변동성 확대를 우려하고 있다며 적절한 대응이 필요다고 강조한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유동성 공급 등 시장 안정 조치를 이미 취해 놓은 상황이지만 단기적 변동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