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정부가 국내 자동차 사업 불확실성 해소를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불확실한 무역 환경 및 미래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이다. 

기획재정부는 2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안은 민생경제 회복에 초점을 맞췄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경제단체들은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대외 신뢰를 견고히 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정부는 자동차 산업과 관련해서는 민관 공동 무역이슈 대응 및 기술혁신·친환경차 전환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민관 합동대응반을 운영하고, 보편관세 부과, 수출규제 강화 등 무역환경 변화에 따른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전기·수소차 수요 회복을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 확대로 친환경차 편의성을 높이겠다는 목표다. 

이와 함께 자동차 취득세 관련 다자녀 가구 기준을 3자녀에서 2자녀로 완화했으며 청년과 다자녀 가구 대상 전기차 구매 보조금은 확대했다.

청년이 생애 최초로 전기차를 사면 국비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20% 추가로 지원한다.

작년 차상위 이하 계층인 19세 이상∼34세 이하 청년이 처음 전기차를 사는 경우 보조금을 30% 더 주는 제도가 도입된 데 이어 대상이 확대됐다. 자녀가 둘인 경우 추가 보조금이 100만원, 셋이면 200만원, 넷 이상이면 300만원이다.

여기에 후발국 추격 등 글로벌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상반기 중 범부처 자율주행 기술 로드맵을 수립하고 저리 정책금융 지원도 확대할 방침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일 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 장관회의에서 "18조 원 경기보강 패키지를 시행하고, 전례 없는 규모와 속도의 민생 신속지원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