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
ⓒ연합

뉴욕 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이후 급등세를 보였다. 근원 CPI가 시장 예상에 부합하며 둔화 흐름을 나타내자 투자자들의 매수 심리가 크게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

1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703.27p(1.65%) 상승한 4만3221.55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07.00p(1.83%) 오른 5949.91, 나스닥종합지수는 466.84p(2.45%) 급등한 1만9511.23에 장을 마쳤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12월 CPI는 전월 대비 0.4% 상승해 시장 예상치와 전월 수치를 상회했다. 그러나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12월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2% 상승에 그쳐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으며, 5개월 만에 둔화세를 보였다.

물가 지표 발표 이후 국채금리가 급락한 점도 주식 매수 심리를 뒷받침했다. 10년물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 13bp 이상 하락했다.

한편, 이날부터 본격화된 미국 기업들의 4분기 실적 발표도 호조를 보였다. 골드만삭스는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실적을 발표해 주가가 6% 이상 상승했다. JP모건체이스, 씨티그룹, 웰스파고 등 주요 금융사들도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매그니피센트7(M7)'로 불리는 거대 기술기업들의 주가도 일제히 상승했다. 테슬라는 8% 이상 올랐으며, 엔비디아, 메타플랫폼스, 알파벳은 3%,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은 2% 이상 상승했다.

연방준비제도(Fed) 인사들의 발언도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12월 CPI는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향해 내려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이날 발표된 연준의 12월 베이지북에 따르면 모든 연방준비은행 관할 구역에서 경제 활동이 약간 혹은 적당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일부 구역에서는 이민 정책 및 관세 변화가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