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연합뉴스

한국 경제가 지난해 4분기에 0.1%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전분기에 이어 두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을 보였으나, 한국은행과 시장의 예상치를 하회하는 부진한 실적이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24년 4분기 및 연간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2023년 4분기 GDP는 전기 대비 0.1% 증가했다. 이로써 2023년 연간 경제성장률은 2.0%로 추산됐다.

한국은행은 앞서 비상계엄 사태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한 경제심리 악화와 내수 위축을 고려해 4분기 성장률을 0.2% 또는 그 이하로 예상했었다. 지난해 11월 정기 경제전망에서는 4분기 0.5%, 연간 2.2%의 성장률을 전망한 바 있다.

2023년 한국 경제는 1분기에 1.3%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2분기에는 -0.2%로 역성장했다. 이후 3분기와 4분기에 각각 0.1%의 성장률을 보이며 플러스 성장을 유지했지만, 당초 전망에 미치지 못하는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다.

4분기 성장 기여도를 살펴보면, 순수출(수출-수입)이 0.1%포인트, 내수가 0.0%포인트를 각각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순수출 기여도가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후 4분기에 플러스로 전환됐다는 것이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4분기 GDP가 1.2% 성장했다. 2023년 분기별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1분기 3.4%, 2분기 2.3%, 3분기 1.5%를 기록했다.

이번 경제 성장률 발표는 한국 경제가 여전히 도전적인 상황에 직면해 있음을 보여준다. 정부와 중앙은행은 경제 회복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은 이같은 경제 상황을 고려해 지난해 10월 기준금리를 3.50%에서 3.25%로 인하했으며, 추가적인 금리 인하 가능성도 시사했다. 

다만 금융 안정성 우려로 인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문가들은 2025년에도 수출 증가세 둔화와 국내 소비 위축 등으로 인해 경제 성장률이 2.3%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한국은행은 경제 활성화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내수 진작과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