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정부 부처와 금융권이 중국의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을 확대하고 있다. 생성형 AI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민감한 업무 정보 유출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6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에 이어 통일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등이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거나 차단할 예정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생성형 AI에 대해 금일 접속 차단 등 후속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딥시크 정보 수집 체계가 챗GPT 등과 다른 것으로 파악돼 정보 유출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접속을 차단했다"고 설명했다.

경제 사령탑인 기획재정부도 접속 차단을 검토 중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딥시크와 관련한 대내외의 기술적 우려가 다수 제기되고 있어 외부 접속이 가능한 PC에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런 움직임은 행정안전부가 지난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보낸 것과 맥을 같이한다. 공문에는 생성형 AI에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생성형 AI가 내놓은 결과물을 무조건 신뢰하지 않아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도 딥시크 차단에 동참하고 있다.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은 지난달 31일부터, 한국주택금융공사는 4일부터 접속을 차단했다.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은 3일부터 안전성 검증을 이유로 딥시크 접속을 막았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도 각각 4일과 6일부터 사내 외부망이나 고객용 PC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와 케이뱅크도 데이터 수집·학습 관련 보안성 검토가 완료될 때까지 딥시크 서비스를 차단 중이다.

업계 전문가는 "광범위한 접속 차단 조치는 생성형 AI 사용에 따른 정보 보안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정부와 금융기관들은 민감한 정보 유출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신중한 접근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플이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