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경원 대표를 비롯한 참석 내외빈들이 6일 애경케미칼 울산공장에서 열린 'T프로젝트 착공식'에서 시삽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SC엔지니어링 박의구 현장소장, SC엔지니어링 손재훈 상무, SC엔지니어링 왕대식 사장, 애경케미칼 이종화 울산공장장, AK홀딩스 고준 대표이사, 애경케미칼 표경원 대표이사, 울산광역시 안효대 부시장, 울산상공회의소 이윤철 회장, 울주군 이순걸 군수, 산업은행 충청지역본부 심기호 본부장,  태광산업 노중현 구매실장, 효성첨단소재 한인식 공장장) [출처=애경케미칼]
표경원 대표를 비롯한 참석 내외빈들이 6일 애경케미칼 울산공장에서 열린 'T프로젝트 착공식'에서 시삽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SC엔지니어링 박의구 현장소장, SC엔지니어링 손재훈 상무, SC엔지니어링 왕대식 사장, 애경케미칼 이종화 울산공장장, AK홀딩스 고준 대표이사, 애경케미칼 표경원 대표이사, 울산광역시 안효대 부시장, 울산상공회의소 이윤철 회장, 울주군 이순걸 군수, 산업은행 충청지역본부 심기호 본부장,  태광산업 노중현 구매실장, 효성첨단소재 한인식 공장장) [출처=애경케미칼]

애경케미칼은 6일 아라미드 섬유의 핵심 원료인 TPC(Terephthaloyl Chloride) 공장의 성공적인 건설을 기원하는 ‘T프로젝트 착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TPC 공장은 애경케미칼 울산공장의 유휴 부지를 활용해 설립되며, 올해 연말 완공 후 내년 초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생산능력은 1만5,000t 규모로 향후 아라미드 시장 성장과 TPC 수요 증가 추세에 따라 생산규모 확장을 검토할 예정이다.

아라미드는 강철보다 가볍고 단단하며 난연성을 갖춰 ‘슈퍼섬유’로 불린다. 소방 방화복, 항공우주 산업, 전기자동차 타이어코드, 광케이블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 활용되고 있다. 애경케미칼이 생산하게 될 TPC는 이 같은 ‘슈퍼섬유’ 아라미드의 주원료로, 국내에는 생산 체계가 전무해 그동안 전량 수입에 의존해 왔다.

이에 애경케미칼은 TPC 국산화를 위한 연구를 시작해 독자적으로 생산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기존 TPC 생산 방식은 열을 활용하기 때문에 유해가스인 이산화황이 발생하는 반면, 애경케미칼이 적용한 ‘광(光)공법’은 이산화황 가스가 발생되지 않으며, 염화수소를 포집해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해 보다 친환경적이다.

표경원 애경케미칼 대표는 “이번 공장 착공으로 애경케미칼이 꿈꿔온 기술 자립과 TPC 국산화에 성큼 다가섰다”면서 “애경케미칼은 앞으로도 신성장동력을 발굴하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기업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울산석유화학단지 내 위치한 애경케미칼 공장에서 열린 이번 착공식에는 표 대표와 고준 AK홀딩스 대표 등 회사 관계자를 비롯해 안효대 울산광역시 부시장, 이순걸 울주군수, 이윤철 울산상공회의소 회장 등 내외빈 20여 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키워드
#애경케미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