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대산에 위치한 HD현대오일뱅크 바이오 디젤 공장 전경. [출처=HD현대오일뱅크]
충청남도 대산에 위치한 HD현대오일뱅크 바이오 디젤 공장 전경. [출처=HD현대오일뱅크]

HD현대오일뱅크가 지난해 4분기 정제마진 개선에 힘입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오일뱅크의 연결 기준 4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50억원 증가한 1475억원을 달성했다. 전 분기와 비교하면 4156억원(5800%) 급증하며 흑자로 전환했다. 4분기 매출과 순손실은 각각 7조1560억원, 1158억원이었다.

작년 한 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4% 늘어난 30조4686억원을 달성했다. 친환경 연료 공급 확대와 공장 가동 효율화로 매출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58.2% 감소한 2580억원을 기록했다.

HD현대오일뱅크는 "4분기 영업이익은 계절적 수요 증가 및 중동 정유사 정기보수에 따른 등경유 시황 강세의 영향으로 흑자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올해는 유가 안정화와 제품 크랙(국제 석유제품가-국제 원유가) 회복세에 따라 실적 개선이 전망된다.

HD현대오일뱅크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완화와 비(非)OPEC+의 증산, 중국 석유 수요 부진, 트럼프 대통령의 에너지 정책으로 두바이 유가의 하향 안정화가 예상된다"며 "제품 크랙은 나이지리아 등 신규 정유 공장 가동으로 상승 폭이 제한적이지만 휘발유가 5월 이후 점진적으로 회복하고, 중국 경기 부양책에 따른 경기 개선 기대감이 시황을 지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올해 시황 상 전년 대비 실적이 개선되고 현금흐름 역시 개선될 것으로 봤다.

트럼프 행정부의 캐나다산 원유 관세 부과는 오히려 기회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최근 미국은 캐나다산 원유에 10%, 멕시코산 원유에 25%의 관세를 각각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미국 내 처리되는 전체 원유의 약 40%는 해외에서 수입되며 이 중 캐나다산이 약 60%를 차지한다.

HD현대오일뱅크는 실적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미국발 원유 관세 인상 효과에 대해 "결론부터 말하면 정유사들에는 좋은 기회"라며 "캐나다산 원유가 미국 일부 정유사에서 쓰이고 있는데 그 정유사들이 캐나다 원유를 도입하지 못하면 가동률이 하락하고, 제품 시황이 강세를 보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미국으로 넘어가지 못한 캐나다산 원유가 시장에 많이 공급되면 (더 싼 원유를 구매할 수 있어) 우리 회사에는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