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이미지 [출처=뤼튼테크놀로지스]
반도체 이미지 [출처=뤼튼테크놀로지스]

중국의 반도체 기술 수준이 2년만에 대부분 한국을 추월했다는 전문가들의 설문 결과가 나왔다.

23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발간한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수준 심층분석' 브리프에 따르면 국내 전문가 39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지난해 기준 한국의 반도체 분야 기술 기초역량은 모든 분야에서 중국에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 기술 선도국을 100%로 평가할 때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 분야에서는 한국이 90.9%에 머무른 반면 중국은 94.1%로 평가돼 한국이 2위에 그쳤다.

고성능·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기술도 한국은 84.1%, 중국은 88.3%로 나타났다.

전력반도체도 한국이 67.5%, 중국이 79.8%였고,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도 한국이 81.3%, 중국이 83.9%였다. 다만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은 한국과 중국이 74.2%로 같게 평가됐다.

기술 수준을 사업화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 한국은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과 반도체·첨단패키징 기술 분야에서만 중국을 앞서는 모습을 보였다.

설문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2022년 평가 당시에는 한국이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 등에서 우위를 점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2년 만에 전반적인 기술 경쟁력에서 뒤처졌다고 분석했다.

반도체 기술 생애주기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한국은 공정과 양산 단계에서는 중국을 선도했지만, 기초·원천 기술과 설계 분야에서는 중국에 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역량, 사업화 등 관점에 따른 2024 기술수준평가 결과 [출처=KISTEP]
기초역량, 사업화 등 관점에 따른 2024 기술수준평가 결과 [출처=KISTEP]

보고서는 향후 한국 반도체 기술에 영향을 미칠 주요 이슈로 △핵심 인력 유출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 △미·중 견제 △자국 중심 정책 △공급망 현지화 등을 지목했다. 이 중 AI 반도체 기술만이 한국 기술 수준에 유리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일본과 중국의 반도체 시장 부상, 미국의 제재, 동남아시아의 급성장 등으로 인한 시장 불확실성과 더불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국내 연구개발(R&D) 투자 규모 부족 문제를 지적했다.

그러면서 첨단 반도체 제조 기술력 확보와 시스템 반도체 분야 생태계 확대, 핵심 인재 양성과 기존 인재 유출 방지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반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