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뉴스]
[출처=연합뉴스]

지난해 인구가 12만명 감소하며 5년 연속 내리막을 걸었다. 출생하 수는 소폭 증가에 그치며 인구절벽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인구는 12만명 자연감소하며 5년 간 총 45만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지난 2020년 3만3천명이 줄어든 2021년(-5만7천명), 2022년(-12만4천명), 2023년(-12만2천명) 등이다. 이로써 인구는 최근 5년간 45만6천명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출생아 수는 지난해 23만8천명을 기록했다. 시도별로 세종시가 유일하게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보다 많아 1천명 자연증가했으며 나머지 16개 시도는 모두 자연감소했다.

그럼에도 자연감소 수보다 출생아수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반등에도 5년 단위로 비교하면 역대 최소 수준이다.

출생아 수는 1990∼1994년 352만7천명에서 2000∼2004년(266만9천명) 200만명대로 내려왔다. 2005∼2009년 229만8천명으로 줄어든 뒤 2010∼2014년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가 이후 감소세가 가팔라져 2015∼2019년 183만2천명, 2020∼2024년 125만명까지 줄었다.

일시적 출산율 반등에도 장기적인 인구 감소 추세는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고령인구 비율도 함께 상승하면서 생산연령인구는 줄고 부양 인구는 늘어나 경제 성장이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2072년에 절반 수준인 47.7%까지 높아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