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EBN AI 그래픽]](https://cdn.ebn.co.kr/news/photo/202503/1655315_668360_5746.png)
미국이 다음달 2일 '상호관세'를 예고한 가운데, 새로운 무역 협정을 언급하고 나섰다.
다음은 16일(현지시간) 미국 CBS 프로그램 '페이스 더 네이션(Face the Nation)'에서 진행자 마거릿 브레넌과 미국 국무장관 마코 루비오가 무역 협정 관련해 나눈 인터뷰를 번역한 내용이다.
MARGARET BRENNAN: China is Canada's second biggest export market, Mexico's third. In this ongoing trade back-and-forth, the U.S. is having, isn't there a risk that China will ultimately be the winner? If it's too costly to deal with the United States, won't they benefit?
마거릿 브레넌: 그들은 러시아로부터 지원을 받을 가능성도 있는데, 이에 대한 제재를 가하셨습니다. 하지만 저는 관세에 대해 묻고 싶습니다. 지난주 캐나다를 방문하셨는데, 중국은 캐나다의 두 번째로 큰 수출 시장이고, 멕시코는 세 번째입니다. 현재 진행 중인 무역 분쟁에서 결국 중국이 승자가 될 위험이 있지 않습니까? 미국과 거래하는 것이 너무 비용이 많이 든다면, 결국 중국이 혜택을 보지 않을까요?
RUBIO: Well, actually, China and Canada are involved in a mini trade war right now. In fact, the Chinese have imposed a bunch of tariffs, reciprocal or retaliatory tariffs on Canada after Canada imposed tariffs on them. So here's the way everyone needs to understand this, okay? The president rightfully believes that the balance of global trade is completely off gilt- kilter. For 30 or 40 years, we have allowed countries to treat us unfairly in global trade, much of it during the Cold War because we wanted them to be rich and prosperous because they were our allies in the Cold War, but now that has to change. You look at the European Union. The European Union's economy is about the same size as ours. It's not a low wage economy. It's very comparable to ours in terms of its composition and so forth. Why do they have a trade surplus with us? So what the President is saying is two things. Number one, there are critical industries like aluminum, like steel, like semiconductors, like automobile manufacturing, that he rightfully believes, President Trump rightfully believes, the U.S. needs to have a domestic capability and the way you protect those industries and build that capability is by ensuring that there's economic incentives to produce in the United States. The second is global, and that is, we are going to put tariffs on countries reciprocal to what they impose on us. And so this is a global, it's not against Canada, it's not against Mexico, it's not against the EU, it's everybody. And then from that new baseline of fairness and reciprocity, we will engage, potentially in bilateral negotiations with countries around the world on new trade arrangements that make sense for both sides. Fairness, but right now, it's not fair. We're going to reset the baseline, and then we can enter into these bilateral agreements, potentially, with countries so that our trade is fair. What's not going to continue is, of course, these countries are upset–
루비오: 사실, 현재 중국과 캐나다는 작은 무역 전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캐나다가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도 이에 대한 보복 관세를 부과한 상황입니다. 사람들이 이 문제를 이해해야 하는 방식은 이렇습니다. 대통령은 글로벌 무역 균형이 완전히 잘못되었다고 믿고 있습니다.
지난 30~40년 동안, 우리는 글로벌 무역에서 다른 국가들이 우리를 불공정하게 대하도록 방치해왔습니다. 냉전 시기에는 그들이 부유하고 번영하기를 바랐기 때문에 이를 용인했지만, 이제는 상황이 변해야 합니다.
유럽연합(EU)을 보십시오. 그들의 경제 규모는 우리와 비슷합니다. 저임금 국가가 아니며, 경제 구조도 상당히 유사합니다. 그런데 왜 EU는 우리와의 무역에서 흑자를 기록하고 있을까요?
대통령이 말하는 것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 알루미늄, 철강, 반도체, 자동차 제조업과 같은 핵심 산업을 미국 내에서 유지해야 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위한 국내 생산 능력이 필수적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산업을 보호하고 육성하는 방법은 미국 내에서 생산하도록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둘째, 무역의 상호주의적 원칙을 전 세계적으로 적용할 것입니다. 즉, 다른 나라가 우리에게 관세를 부과하면 우리도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부과할 것입니다. 이는 특정 국가를 겨냥한 것이 아니라 캐나다, 멕시코, EU를 포함한 전 세계적인 정책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새로운 공정성과 상호주의를 바탕으로 무역 기준을 재설정한 후, 각국과 새로운 양자 협상을 진행할 것입니다. 지금의 무역 체계는 공정하지 않으며, 이를 재조정한 후에 공정한 무역 협정을 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이러한 조치에 대해 각국이 불만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BRENNAN: So this is all just about leverage to get bilateral, not free trade- not North American Free trade deals–
브레넌: 그러면 이것은 단순히 양자 협정을 얻기 위한 지렛대(Leverage)인가요? 자유무역협정(NAFTA)과 같은 다자 협정을 대체하려는 건가요?
루비오: 아니요, 이것은 지렛대가 아닙니다.
MARGARET BRENNAN: re- renegotiation–
브레넌: 그러면 재협상인가요?
RUBIO: – No, no, it's not leverage, it's fairness. It's resetting baseline fairness. And then from there, we can work on deals and- and so forth, because they'll have products we don't make, we have products they don't make. That's where trade works the best. It has to be free, but it has to be fair, and right now it's only free on one side, and it's not fair for the other side–
루비오: 아니요, 아니요. 이것은 지렛대가 아니라 공정성입니다. 무역의 기본적인 공정성을 재설정하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각국과 협상하여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무역 협정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들이 생산하지만 우리가 만들지 못하는 제품이 있고, 우리가 생산하지만 그들이 만들지 못하는 제품이 있습니다. 이것이 무역이 가장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무역은 자유로워야 하지만, 동시에 공정해야 합니다. 그러나 현재 상태에서는 무역이 한쪽에만 자유롭고, 다른 쪽에는 불공정한 상태입니다.
BRENNAN: Well you know, sir, that–
브레넌: 하지만 아시다시피, 장관님–
RUBIO: –It's an unsustainable position.
루비오: –그것은 지속 가능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BRENNAN: –the ad hoc nature of these policy announcements and pull backs are causing concern in the marketplace, as we saw this past week. So I heard you describe what seemed like a strategy to get to negotiations on a bilateral front. You also seem to negotiate- say this was national security minded. But then we also see comments by the President of like, 200 percent tariffs on champagne. That's not a critical industry for the United States, that seems more emotional.
브레넌: –이러한 정책 발표와 철회의 즉흥적인 성격이 시장에 불안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지난주에도 그 영향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저는 장관님께서 양자 협상을 위한 전략을 설명하는 것으로 들었습니다. 또한 이것이 국가 안보를 고려한 조치라고도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대통령이 샴페인에 2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언급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샴페인은 미국에서 핵심 산업이 아닌데, 이는 다소 감정적인 대응처럼 보이지 않습니까?
RUBIO: No, that means that's- that's called retaliation that's what happens in these trade exchanges. They're going to increase tariffs on- they already have high tariffs. They're going to add more to their tariffs? Fine, then we'll have to find something to- I mean, you tell me? I mean, Canada is going after whiskey and orange juice and you know I mean–
루비오: 아니요, 그것은 보복(retaliation)이라고 합니다. 무역 분쟁에서 이런 일들은 항상 발생합니다. 그들이 이미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거기에 더 추가한다고요? 괜찮습니다. 그러면 우리도 대응해야겠죠. 제 말이 틀렸나요? 캐나다도 미국산 위스키와 오렌지 주스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고 있지 않습니까?
BRENNAN: In retaliation.
브레넌: 보복 조치로 말이죠.
RUBIO: Yeah, exactly. So that sounds pretty petty to me as well. So what's the difference? The point is, I get it. I understand why these countries don't like it, because the status quo of trade is good for them. It benefits them, they like the status quo. We don't like the status quo. We are going to set a new status quo, and then we can negotiate something, if they want to, that is fair for both sides. But what we have now cannot continue. We have de-industrialized this country. De-industrialize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re are things we can no longer make and we have to be able to make in order to be safe as a country and in order to have jobs. That's why we had a rust belt, that's why we've suffered all these important jobs that once sustained entire communities wiped out by trade that basically sent these factories, these jobs, this industrial capability, to other places that cannot and will not continue. I don't- President Trump, this is no mystery, he's been talking about this since the 1980s actually, even before he was a political figure. This is going to happen, and it's going to happen now.
루비오: 네, 맞습니다. 그러니까 그것도 꽤 사소한 보복처럼 들립니다. 그래서 차이가 뭔가요? 핵심은, 저는 이 상황을 이해한다는 겁니다. 다른 국가들이 이런 변화를 좋아하지 않는 이유도 알죠. 현재의 무역 체계가 그들에게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그들에게 이득이 되니까요. 그들은 지금의 상태를 유지하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현 상태를 원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새로운 기준을 설정할 것이며, 그런 다음 원하는 국가들과 공정한 협상을 할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의 방식은 지속될 수 없습니다. 우리는 이 나라를 탈산업화(de-industrialization)했습니다. 미국의 산업이 사라졌습니다. 이제 더 이상 우리가 직접 만들 수 없는 것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국가의 안전을 위해, 그리고 일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제조 능력을 가져야 합니다.
그것이 바로 러스트 벨트(Rust Belt, 쇠락한 공업 지대)가 생겨난 이유이고, 바로 우리가 과거에 중요한 산업 일자리들을 잃어버린 이유입니다. 한때 지역 경제를 떠받쳤던 일자리들이 사라졌습니다. 무역을 통해 공장들이 문을 닫고, 일자리가 해외로 이전했고, 산업 기반이 다른 곳으로 이동한 것입니다. 이런 상황은 더 이상 지속될 수도, 지속되어서도 안 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대해 오랫동안 말해 왔습니다. 사실, 그가 정치인이 되기 전인 1980년대부터 이 문제를 지적해 왔습니다. 그리고 이제 변화가 시작됩니다. 이 변화는 반드시 일어날 것이며, 지금 일어나고 있습니다.
*챗지피티로 번역했습니다. 번역의 오류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