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대한상의]
[제공=대한상의]

최근 선진국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규제 완화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도 새로운 경영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0일‘2025 대한상의 ESG 경영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국내외 ESG 정책기조 변화에 따른 국내기업의 영향과 향후 대응전략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 날 컨퍼런스에서는 미국의 파리협약 탈퇴, 유럽연합(EU) 옴니버스 패키지 등 미국과 EU의 ESG 정책 변화 동향과 이에 따른 영향 및 우리 기업의 대응 전략에 대한 BCG코리아와와 법무법인 지평의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발표에 나선 두 기관 모두 “잇따른 지속가능성 규제완화 조치로 ESG경영이 이제 변곡점에 올랐다”며 “그럼에도 국제사회 요구는 여전히 남아있는 만큼 우리 기업들도 새로운 환경에 맞는 ESG 경영전략을 통해 성장을 모색해 나가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근 발표한 EU 옴니버스 패키지로 국내 중소·중견 수출기업들은 EU 지속가능성 규제 직격탄을 피하는 등 간소화에 따른 수혜를 볼 수 있다”고 내다봤다.

CSRD의 경우 당초 5만개 기업이 의무공시 대상이었으나 이번 조치로 약 80% 수준에 해당되는 4만개 기업이 공시의무를 벗어나 중소·중견기업 부담이 크게 경감했다는 진단이다.

또 “대부분의 국내 대기업은 여전히 공시 의무화 영향권에 있는 만큼, 경쟁국 동향을 지켜보며 예상되는 ESG 리스크 대응과 산업 경쟁력 강화 등 내실을 다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 감수성과 ESG의 미래’주제 발표자로 나선 전미영 트렌드코리아컴퍼니 대표는 2025년 지속가능성과 연관된 소비·라이프스타일 키워드로‘기후감수성’을 제시했다.

전 대표는 “기후이슈는 당장 해결해야 할 위험임에도 위기를 위기로 인식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기후불안 해소와 기후문제에 밀도있게 대응하기 위해 기후복지 도입을 확대하는 등 인센티브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연에 이어 진행된 패널토의에서전문가들은 “속도는 늦출 수 있을지언정 ESG경영의 방향성에는 변동이 없다”며 “공급망 실사, 생물다양성 및 자연자본 공시, 인적자본 및 인권 등의 다른 비재무적 리스크들도 증가하는 만큼 기업이 핵심 경영 전략 수립할 때 이를 여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우리 기업들도 ESG를 리스크 관점에서 바라보고 산업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으로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