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출처=연합뉴스]
틱톡. [출처=연합뉴스]

틱톡(TikTok)의 미국 사업 향방을 두고 백악관이 주도하는 구조 개편 시나리오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23일 IT업계에 따르면,  백악관과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 그리고 주요 미국 투자자 간 논의가 구체화되고 있다. 

핵심은 틱톡 미국 법인의 분사와 동시에, 이를 바이트댄스의 기존 미국 투자자들이 인수하는 방식이다. 분사된 틱톡 미국 법인의 중국 지분은 20% 이하로 제한돼야 한다는 안보 조치도 포함됐다.

현재 바이트댄스 이사회 멤버인 서스쿼해나인터내셔널그룹의 에프 야스, 제너럴 애틀랜틱의 빌 포드가 틱톡 미국 사업 인수에 대해 논의의 중심에 서 있다. 여기에 사모펀드 KKR도 참여하고 있으며, 이미 틱톡의 미국 사용자 데이터를 관리해 온 오라클도 소수 지분 참여를 통해 데이터 보안의 핵심 주체로 나설 예정이다.

이번 논의에서 가장 주목되는 점은 미국 내 틱톡 법인의 '완전한 통제권 확보'다. 바이트댄스의 중국 측 지분을 미국 법이 요구하는 20% 이하로 축소하고, 미국 투자자와 관련 기업들이 지배 구조를 장악하는 방식이다. 이는 국가 안보 위협 논란을 해소하기 위한 일종의 '탈중국화' 전략이다.

현재 바이트댄스의 지분 구조는 미국계 투자자들이 60%를, 창업자들이 20%를, 그리고 나머지 20%는 전 세계에 흩어진 임직원들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미국 투자자들이 보유 지분을 확대하고, 중국인의 실질적 영향력을 제거하는 것이 백악관이 구상하는 개편안의 핵심이다.

틱톡은 지난해 4월 미국 연방 의회에서 '틱톡 금지법'이 통과되면서 큰 압박을 받아왔다. 당시 조 바이든 대통령이 법안에 서명하면서 법적 효력을 갖게 됐지만, 올해 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복귀하자마자 행정명령을 통해 90일간 시행을 유예시켰다. 하지만 안보 우려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고, 틱톡의 향후 사업 지속 여부는 여전히 안갯속에 있다.

최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강제 매각이 필요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정한 시기에 맞춰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