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플래그십 스마트폰 샤오미 15 시리즈 [출처=샤오미]](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9026_672689_5659.jpg)
미국 정부가 스마트폰, 노트북, 메모리칩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자 국내 제조업계와 당국은 일단 급한 불은 껐다며 한숨 돌리는 분위기다. 다만 이번 조치가 일시적일 수 있고, 특히 핵심 수출 품목인 반도체에 대해서는 별도의 고율 관세 부과가 임박했다는 경고가 나오면서 불확실성은 여전히 안개 속에 갇혀 있다.
13일 IT 업계에 따르면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이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공지하자 국내 업계는 안도하는 반응이다.
미국은 이들 품목에 대해 중국산 125%, 그 외 국가 10%의 상호관세 적용을 일단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은 이번 유예 조치가 일시적일 수 있으며, 조만간 다른 형태의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을 제기했다. 실제로 백악관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은 "미국은 반도체, 스마트폰, 노트북 등 핵심 기술 생산을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는 성명을 발표해 추가 조치 가능성을 열어뒀다.
반도체 업계는 이번 조치에도 불구하고 불확실성이 다소 남아있는 상태다. 상호관세 대상에서 반도체 제조 장비가 제외돼 미국에 대규모 공장을 짓는 삼성전자 등에 긍정적인 영향이 예상되고, 스마트폰·노트북 가격 인상 우려 완화로 메모리 반도체 수요 둔화 우려가 일부 해소된 점은 긍정적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반도체 (관세가) 곧 시작될 것"이라고 공언한 데 이어, 레빗 대변인 역시 "자동차, 철강, 의약품, 반도체 등은 특정한 (다른) 관세에 포함될 것"이라며 "반도체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국가안보 위협 시 긴급조치) 조사 결과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말해 관세가 부과될 여지가 남아 있다.
상호관세라는 큰 불확실성은 일단 피했지만, 반도체 품목에 대한 '맞춤형 고율 관세'라는 또 다른 폭탄이 언제 터질지 모르는 상황인 셈이다. 업계는 미 행정부의 입장 변화와 구체적인 관세 부과 방침 발표를 예의주시하며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