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EBN DB]
[출처=EBN 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스마트폰, PC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면서 국내 기업들이 다시 긴장하고 있다. 관세 면제 조치가 내려진 지 이틀 만에 트럼프 행정부가 전자제품에도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며 관세 불확실성이 다시 고조되고 있어서다.

13일 블룸버그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지난 11일(현지시간)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라는 제목의 공지를 통해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 품목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조치를 두고 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이 아이폰 가격 급등 우려 등을 이유로 강경 기조에서 한발 물러난 것이라고 해석했다. 아이폰은 미국 내 시장 점유율은 약 60%에 달하며 제품 대부분이 중국에서 조립되고 있어 고율 관세의 직격탄을 맞을 상황이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는 “미국 행정부가 중국과의 본격적인 협상이 시작되기도 전에 자국 기업들의 요구에 항복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관세 제외 발표 이후 애플은 물론 삼성전자도 당장 관세 직격탄을 피할 수 있게 되면서 부담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형성됐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의 절반을 베트남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이 중 일부가 미국 시장에 수출된다. 미국은 베트남산 전자제품에 최대 46%에 달하는 상호관세율을 예고한 바 있어 미국 사업이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불과 이틀만에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관세 정책에 후퇴가 없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금요일에 발표한 것은 관세 예외(exception)가 아니고 단지 다른 관세 범주(bucket)로 옮기는 것”이라고 밝혔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도 13일(현지 시간) 스마트폰과 컴퓨터, 반도체 부품 등은 상호관세 대상에서는 제외됐지만 별도의 품목관세 대상에 해당한다고 못박았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도 관세 리스크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업계는 곧 발표될 반도체 품목 관세율을 주시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에 품목별 관세에 대한 구체적인 답을 주겠다고 밝힌 상태다.

관세가 적용될 경우 한국과 중국에 생산기지를 둔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미국 내 생산 확대 압박에 다시 직면할 수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한국과 중국에서 D램 모듈과 SSD를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하지만 생산거점 다변화는 대규모 투자와 시간이 필요한 만큼 현실적 제약도 크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은 하루가 멀다 하고 바뀌고 있어 기업들이 중장기 계획을 확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책의 구체적인 방향이 드러나기 전까지는 관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