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리티가 대한항공과 무인 항공기 개발 및 항공엔진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해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협력에 이어 이번엔 대한항공과 손잡으면서, 두산은 국내 항공기 체계업체 2곳 모두와 파트너십을 구축하게 됐다.

이번 협약에 따라 두산에너빌리티는 항공엔진 개발을, 대한항공은 항공기 체계 개발을 각각 맡는다. 구체적으로는 5000~1만5000lbf(파운드힘)급 중대형 무인기용 엔진과 100~1000lbf급 소형 무인기용 엔진 개발에 양사가 협력하게 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최근 항공엔진 개발을 위해 민·관 협력 범위를 지속적으로 넓히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KAI와 항공엔진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으며, 올해 1월에는 국방과학연구소와 항공엔진 시험 과제 계약도 맺었다.

이는 정부가 추진 중인 항공엔진 국산화 중장기 전략과도 연결된다. 정부는 2030년대 초까지 1만lbf급 무인기용 엔진과 1만5000lbf급 유인 항공기용 엔진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항공엔진은 항공기의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 장비로, 자체 기술을 보유한 국가는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 소수에 불과하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항공엔진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발전용 가스터빈의 원천기술을 이미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 고온부품의 자체 개발 능력은 항공엔진 기술력 확보에 있어 중요한 경쟁력으로 평가된다.

손승우 두산에너빌리티 파워서비스BG장은 "소형부터 중대형에 이르는 항공엔진의 국산화를 목표로 협력에 집중하고 있다"며 "발전용 가스터빈 사업에서 축적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항공엔진 기술 개발과 사업 확대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