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기별 경제성장률 추이. [출처=한국은행]
분기별 경제성장률 추이. [출처=한국은행]

수출 둔화에 내수 부진이 심화되면서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역성장했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도 1분기 실질 GDP(속보)' 자료에 따르면, 올 1분기 우리나라 실질 GDP는 전기대비 0.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월 한은의 공식 전망치 0.2%보다 0.4%포인트(p)나 낮은 수준이다.

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1.3%를 기록한 뒤 2분기 -0.2%까지 떨어졌고, 3분기와 4분기는 각각 0.1%에 그쳤다.

한은은 이달 17일 1분기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그 배경으로 국내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 미국 관세정책 우려에 따른 3월 중 경제 심리 위축, 역대 최대 산불 피해, 일부 건설 현장의 공사 중단, 고성능 반도체(HBM) 수요 이연 등을 거론한 바 있다.

부문별 1분기 성장률을 살펴보면 민간소비가 오락문화·의료 등 서비스 소비 부진으로 직전 분기보다 0.1% 하락했고 정부소비도 건강보험 급여비 지출이 줄면서 0.1% 감소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3.2%나 감소했고 설비투자도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 위주로 2.1% 축소, 설비투자의 1분기 성장률은 2021년 3분기(-4.9%) 이후 3년 6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화학제품·기계·장비 등은 수출 둔화로 1.1% 감소했고 수입도 원유·천연가스 등 에너지류 중심으로 2.0% 함께 줄었다.

1분기 성장률에 대한 부문별 기여도를 보면,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각 -0.4%p, -0.2%p를 기록하며 성장률을 깎아내렸다. 민간소비(0%p)와 정부소비(0%p)는 성장률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내수와 순수출(수출-수입)로 나눠보면, 소비와 투자를 포함한 전체 내수는 0.6%p 성장률을 주저앉혔고 순수출은 오히려 0.3%p 끌어올렸다. 이는 수출이 감소했지만, 수입 감소 폭이 더 컸기 때문이다.

업종별로는 전기·가스·수도업이 가스·증기·공기조절 공급업을 중심으로 7.9% 늘었고 농림어업은 어업 호조로 3.2% 성장했다.

반면 제조업은 화학물질·화학제품·기계·장비 등 위주로 0.8% 줄었고, 건설업도 건물건설 부진과 함께 1.5% 감소했다.

서비스업(0%)의 경우 금융·보험·정보통신업 등은 늘고 운수업·도소매·숙박음식업은 줄면서 전체로는 정체 상태를 보였다.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도 작년 4분기보다 0.4% 감소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