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60426_674384_2039.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대 145%까지 인상했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하향 조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미중 간 무역 갈등이 전면적 충돌로 번지는 가운데 나온 발언으로 관세 전쟁의 전환점이 될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 직후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에서 “중국과의 관세율 조정은 중국의 태도에 달렸다”며 “향후 2~3주 내 새로운 관세율이 정해질 수 있고, 여기에 중국도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90개국과의 관세 협상이 진행 중이라며 “결국 우리는 훌륭한 거래를 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러한 발언은 기존의 강경 노선을 일부 완화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되며 중국의 협상 태도에 따라 무역전쟁이 완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같은 날 미 재무부의 스콧 베선트 장관은 국제금융연구소 주최 대담에서 “미중 간 관세 수준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무역 금수 조치에 준하며 양국 모두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중 간 빅딜의 기회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협상 진전에 대해 “매일 협상이 진행 중”이라고 언급하며 캐나다와 멕시코에 부과한 25% 관세, 외국산 자동차 관세를 통한 세수 확보가 대규모 세금 감면에 활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캐나다산 자동차에 대해서는 “당장은 고려하지 않지만 향후 인상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동결 기조에 대해 “금리를 인하하지 않는 것은 실수”라며 파월 의장을 비판했다.
또한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과 관련해 “러시아와 젤렌스키 대통령 양측 모두와의 합의를 기대한다”며 크림반도 문제에 대해선 구체적 언급을 피한 채 “전쟁의 종식을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 기부금 수령 대학의 정보공개를 요구하고, 장학금 및 대출 관련 인증 박탈을 용이하게 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이는 하버드대 등 일부 대학에 대한 정책적 압박으로 해석되고 있다.
- "美 상호관세 대응" 농식품부, 수출기업 애로 대응체계 전면 개편
- SK하이닉스, 1Q 영업익 7.4조원·이익률 42% '서프라이즈'…"HBM 수요 폭발"
- 1분기 GDP -0.2% …3분기 만에 마이너스 성장
- 38개월째 '부정적'…제조업·수출 직격탄에 얼어붙은 기업심리
- 트럼프 "파월 연준 의장 해임 계획 없어…중국 관세도 대폭 인하될 것"
- 한미 2+2 통상협의, 최상목 "상호·품목별 관세 면제" 요청
- 트럼프 장남, 방한…'HD현대重ㆍ한화오션' 방문할 듯
- 이창용 “美中 합의 안되면 90일 상호관세 유예 연기돼도 경제적 비용 커”
- 美中 무역전쟁 충격…韓 수출기업 "공급망 여건 악화"
- 미중 무역전쟁 완화되나…"中, 125% 관세 면제 美 제품 목록 작성" 로이터
- 미국-우크라, 천연자원 공동 개발 협정 체결
- 하버드 유학생 퇴출 위기 일단 멈췄다…美 법원, 트럼프 행정부 조치 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