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EBN DB]
[출처=EBN DB]

미중 간 무역전쟁이 심화하면서 국내 수출 기업의 절반 이상은 올해 공급망 조달 여건이 작년보다 악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트럼프 2기, 미국과 중국의 수출통제에 따른 우리 기업의 공급망 리스크 인식과 시사점' 보고서를 27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는 작년 기준 50만달러 이상 수출 실적을 보유한 제조기업 740곳을 대상으로 지난 2월 24일∼3월 10일 실시한 공급망 위기 관련 설문 결과가 담겼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53.4%는 트럼프 2기 이후 글로벌 공급망 조달 여건이 작년보다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공급망 조달 상황이 '지난해와 유사할 것'이라는 답은 41.4%였으며 '개선될 것'이라는 답은 5.5%에 불과했다.

기업 규모별로 공급망 여건 악화를 전망한 비율은 중견기업(55.1%)과 중소기업(53.5%)이 대기업(36.8%)보다 1.5배 안팎으로 높았다.

업종별로는 가구 및 인테리어(76.9%), 섬유 및 의류(65.4%), 이차전지(63.9%),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60.7%), 가전 및 스마트 디바이스(59.4%), 화학 및 석유화학(56.4%), 기계 및 장비(56.2%), 철강 및 금속(55.8%), 전기차 및 수소차(54.5%) 등이다. 

수출 기업의 79.6%는 미국의 무역 제재에 따른 공급망 위기에 대해 '심각하다'(매우 심각 30.9%·조금 심각 48.8%)고 답했다.

42.4%가 중국의 원자재 수출통제로 인한 공급망 위기에 대해 '심각하다'(매우 심각 11.8%·조금 심각 30.7%)고 답한 것을 고려하면 기업들은 '미국발 리스크'를 '중국발 리스크'보다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등 무역 제재와 관련해 공급망 피해가 있거나 예상된다고 응답한 수출 기업은 83.1%에 달했다. 기업의 73.0%는 중국의 수출통제에 따른 공급망 피해·영향도 우려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키워드
#무역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