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CEO가 관련 임원들과 사과 인사를 하는 모습. (왼쪽부터) 이종훈 Infra전략본부장, 홍승태 고객가치혁신실장, 유영상 CEO, 배병찬 MNO AT본부장, 윤재웅 마케팅전략본부장 [출처= SK텔레콤]
유영상 CEO가 관련 임원들과 사과 인사를 하는 모습. (왼쪽부터) 이종훈 Infra전략본부장, 홍승태 고객가치혁신실장, 유영상 CEO, 배병찬 MNO AT본부장, 윤재웅 마케팅전략본부장 [출처= SK텔레콤]

SK텔레콤이 최근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고에 대응해 28일 오전 10시부터 전국 2,600여개 T월드 매장에서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번 조치는 SK텔레콤 가입자와 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가입자 등 총 2,500만명을 대상으로 한다.

SK텔레콤은 전날 현재 약 100만개의 유심 재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5월 말까지 500만개 추가 확보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규모 교체 대상에 비해 초기 재고가 제한적이어서 일부 매장에서는 혼잡과 대기시간 증가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심 교체를 원하는 고객은 가까운 T월드 매장이나 공항 로밍센터를 방문하면 된다. 특히 출국자 수요가 많은 인천공항 로밍센터는 대응 인력을 50% 증원해 서비스를 지원한다.

장시간 대기를 방지하기 위해 SK텔레콤은 온라인 예약 신청 시스템도 운영한다. 고객이 온라인으로 희망 대리점을 선택해 신청하면 접수 순서에 따라 유심 교체가 진행된다.

SK텔레콤은 유심 교체 전까지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할 것도 적극 권장했다.

이 서비스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와 협력해 2023년에 개발된 것으로, 해커가 유심 정보를 탈취하거나 복제해도 타 기기에서 고객 명의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차단한다.

SK텔레콤은 “유심보호서비스는 유심 교체와 동일한 피해 예방 효과를 갖고 있으며, 가입 고객에게 불법 복제 피해가 발생할 경우 전액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전체 가입자의 24%에 해당하는 554만명이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한 상태다.

SK텔레콤은 비정상 인증 시도를 차단하는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도 최고 수준으로 격상해 운영 중이며, 사고 이후 현재까지 추가 피해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태는 지난 18일 해커가 악성코드를 이용해 일부 이용자의 유심 고유식별번호 등 정보가 유출된 정황이 확인되면서 촉발됐다.

현재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경찰이 공동으로 조사를 진행 중이다. 사고 초기 SK텔레콤은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권장하는 수준에 그쳤으나, 고객 불안이 커지면서 25일 전면 무상 교체로 방침을 전환했다.

그러나 조치 이후에도 금융감독원이 금융회사에 추가 인증수단 도입을 당부하고, 일부 보험사가 SK텔레콤 인증 절차를 중단하는 등 파장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 유심 교체 서비스가 본격 시작되기 전인 지난주 말부터 일부 SK텔레콤 대리점에는 교체를 원하는 고객이 몰리기도 했다.

이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전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SK텔레콤의 대응 조치 적정성 여부를 면밀히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