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지난 28일 서울 서초구 스페이스쉐어 강남역센터에서 열린 첫 정기 주주총회를 마친 뒤 언론 앞에서 입장 표명 및 질의 응답 시간을 갖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지난 28일 서울 서초구 스페이스쉐어 강남역센터에서 열린 첫 정기 주주총회를 마친 뒤 언론 앞에서 입장 표명 및 질의 응답 시간을 갖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더본코리아가 최근 지역개발사업 관련 언론 보도에 대해 "사실과 다르거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내용이 있다"며 공식 입장을 밝혔다.

본사는 30일 배포한 입장문을 통해 지역축제, 외식산업개발원, 축제 수주 실적 등과 관련한 주요 쟁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해명했다.

먼저 강원 인제군 축제 관련 보도에 대해서는 유튜브 영상 제작비가 5억5000만원에 달한다는 주장에 대해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실제 예산은 총 5억원이며, 이 중 유튜브 영상 제작과 홍보에 사용된 금액은 1억5000만원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예산은 행사장 시설 조성, 장비 설치, 공간 연출, 교육비 및 식자재 물류비 등 전반적 운영비로 쓰였다는 입장이다.

특히 영상 제작은 2024년 2월부터 6월까지 약 5개월간 진행됐으며, 전문 인력 16명이 투입됐다. 콘텐츠는 백종원의 유튜브 채널(약 650만 구독자)을 통해 배포됐으며, 이에 상응하는 홍보 효과까지 고려된 합리적인 비용이라는 설명이다.

더본코리아는 군산 외식산업개발원 사업과 관련해 '특혜' 또는 '몰빵'이라는 표현이 사용된 보도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군산시가 자체 예산과 부지를 기반으로 진행한 것으로, 더본코리아가 일방적 혜택을 받은 것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회사 측은 "군산시가 당사의 외식산업개발 사례를 참고해 협력을 요청했고, 법령과 행정 절차에 따라 성실히 참여한 것"이라고 밝혔다. 외식산업개발원은 메뉴 R&D, 청년 교육, 전통시장 연계 프로그램 등 지역 맞춤형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부 보도에서 더본코리아가 3년간 91억원 규모의 지역축제 매출을 올렸다고 주장한 데 대해, 본사는 "이는 축제 외 다양한 사업이 포함된 수치"라며 반박했다. 실제 축제 관련 누적 매출은 약 41억원이며, 수주 건수는 16건으로 전체 전국 지역축제(약 1170건 기준)의 1.2% 수준에 불과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해당 사업은 대규모 인력과 장비가 투입되는 초기 단계의 플랫폼 구축형 모델이며, 단기 수익보다는 지역 맞춤형 축제 인프라 형성을 중시하는 장기적 전략이라고 덧붙였다.

더본코리아는 2023년 예산맥주페스티벌을 시작으로 통영·제주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20232024년 누적 방문객 835만명, 2040대 주요 소비층 비율 85%, 영상 총 조회수 2300만회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더본코리아 측은 "지역과 상생하는 진정성 있는 프로젝트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허위 사실이나 과장된 보도로 기업과 지자체의 신뢰가 훼손되는 일이 없도록 앞으로도 투명하게 소통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