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카카오가 개인 맞춤형 인공지능(AI) 메이트 서비스 '카나나'의 CBT(Closed Beta Test)를 8일 시작한다고 밝혔다. [출처=카카오]

카카오가 개인 맞춤형 인공지능(AI) 메이트 서비스 '카나나'의 CBT(Closed Beta Test)를 8일 시작한다고 밝혔다. 카나나는 단톡방과 개인 채팅방에서 대화 내용을 요약해주거나 일정 공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AI 서비스다.

카나나는 이용자가 주고 받은 대화 내용의 맥락을 파악해 그에 맞는 답변을 제공한다. 기존 AI 서비스들이 이용자와의 1:1 대화만을 통해 기능을 수행했다면, 카나나는 그룹 대화에서도 작동함으로써 관계 형성과 강화를 돕는다.

이용자들이 서비스를 사용할수록 AI 메이트의 이용자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져 개인화 수준도 고도화된다.

카카오는 "카나나가 '나를 이해하는 초개인화 서비스'라는 방향성을 강조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카나나 서비스에는 개인메이트 ‘나나’와 그룹메이트 ‘카나’가 있다. ‘나나’는 개인과 그룹방 모두에 존재하며, 이용자의 정보를 기억해 개인화된 답변을 제공한다. 그룹 메이트 ‘카나’는 이용자가 속한 모든 그룹방에서 조별 과제나 동호회, 가족, 지인 간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고 모임 일정 및 장소 정하는 것을 돕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러닝 동호회에서 다가오는 마라톤 대회 일정과 관련한 이야기를 나눈다면 그 내용을 파악해 일정을 등록하고 리마인드도 해준다. 새로운 러닝 코스도 추천해주며, 대회 일정에 대한 알림 요청을 해두면 주기적으로 정보를 공유해 준다.

그룹방에서 귓속말 모드를 통해 개인메이트 나나와 1:1 대화를 나눌 수도 있다. 뒤늦게 그룹방에 참여한 상황에서 지난 대화를 요약 받거나, 대화 중 오가는 내용에 대한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카나나는 카카오 계정으로 가입 가능하고 메이트 프로필 설정 단계에서 ‘친구같은’, ‘전문가같은’, ‘분위기 메이커’, ‘사춘기 같은’ 등으로 메이트의 말투, 성격 등을 특정할 수 있다. 이용자가 원하는 대화 스타일을 직접 입력해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나나는 구글 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로드 받은 이용자 중 가입 순서에 따라 선착순으로 CBT에 참여할 수 있다. 

약 3주마다 정기 업데이트를 진행해 기술 및 서비스 품질을 지속적으로 높여 갈 계획이다. 서비스 완성도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정식 버전을 출시할 예정이다. 

카카오는 올해 카나나 이외에도 오픈AI와의 협력 등을 통해 다양한 AI 서비스들을 선보일 계획이다.

카카오톡 채널 형태로 지난 1분기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AI 메이트 쇼핑’에 이어, ‘AI 메이트 로컬’을 연내 신규 출시할 예정이다. 쇼핑과 로컬을 시작으로 다양한 버티컬 메이트를 출시함으로써 기존 사업의 진입점을 확대하고 이용자의 사용성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이용자가 요청한 내용의 문맥까지 추론해 최적의 답변을 요약 정리해주는 AI 기반 생성형 검색 서비스도 준비 중이다.

카카오는 "오픈AI와의 전략적 제휴를 기반으로 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을 진행하고, 카카오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AI 에이전트 개발을 통해 서비스 사용성 및 경험 확대에도 집중할 계획"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