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서울 여의도 금투센터에서 열린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경제정책 영향과 대응 방향’ 세미나에서 이승호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트럼프 정부의 관세와 환율 정책에 대해 발표를 하고 있다. [출처= 최수진 기자]](https://cdn.ebn.co.kr/news/photo/202505/1664137_678632_3847.jpg)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무역적자의 원인을 미 달러화의 구조적 강세 때문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관세 다음 전략으로 약달러를 위한 전략을 이행할 가능성이 큽니다. 과거 플라자합의 이후 일본 엔화의 큰 폭의 강세가 잃어버린 30년의 시발점이 됐던 만큼 원화만 빠르게 절상되는 것을 경계해야 합니다.”
26일 서울 여의도 금투센터에서 열린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경제정책 영향과 대응 방향’ 세미나에서 이승호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이같이 강조했다.
최근 달러화의 가치가 빠르게 하락하면서 미국 정부의 달러화 전략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세계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의 평균적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인 달러인덱스는 올해 초 110 수준이었으나 최근 100을 하회하고 있다. 달러 가치는 3년래 최저치를 경신했다.
미국의 강력하고 변동성이 큰 관세 정책은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이어졌고 달러 자산에 대한 신뢰도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인 스티븐 미란의 보고서로부터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는 미국의 막대한 무역적자는 주요국과의 관세 및 환율 조정을 통해 국제무역시스템 재구성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특히 보고서에 ‘마라라고 합의(Mar-a-Lago Accord)’라는 다자간 환율 협정 모델을 제시하며, 동맹국을 상대로 환율절상과 초장기국채 매입을 요구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대만하고 관세 협상과정에서 미 달러 자산 투자를 늘려왔던 대만 보험사들이 환차손 헷지를 위해 미 달러 약세에 투자하면서 역외 원·달러 환율이 급락한 바 있다”며 “관세 협상 얘기만 있고 환율 협정 얘기는 없었음에도 시장은 이미 미 달러화 약세에 베팅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마라라고 협정에는 논리적 결함이 있고 실현가능성도 높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우리나라가 피해가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한국은 대미무역흑자, 원화약세, 방위지원 부담 등의 요건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개별적인 환율절상 압력을 우선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원·달러 환율이 그동안 너무 많이 올랐던 만큼 환율이 하락하면 자본시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기대효과도 있다. 원화 절상 기조는 주식시장으로 외국인 자금이 유입되는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환율 하락을 국내금리 인하 여력 확보 기회로 활용해 거시경제 안정성을 도모할 수도 있다.
다만 문제는 너무 가파르게 원화가 절상될 경우다. 실제로 지난주 달러 대비 원화 가치는 한 주 만에 2.45%나 상승해 주요 통화 중 두 번째로 강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원화보다 절상 폭이 큰 통화는 스웨덴 크로나(2.51%) 정도다.
원화가 가파르게 상승하면 수출 경쟁력을 저하시켜 수출 제조업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원화 절상이 금통위 금리 인하로 이어질 수 있으나 미국이 금리 인하에 속도를 조절하고 있어 한미 금리차 확대로 인한 자본유출 압력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위원은 “수출경쟁국통화 대비 가파른 원화 강세는 수출 감소, 경제성장 등에 부정적이기 때문에 절상 크기 및 속도 면에서 과도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미국과 원화절상 논의가 이루어진다면 대외불확실성과 서학개미·국민연금 등 민간부문의 해외증권트자 증가 등 구조적 요인으로 당국의 인위적인 환율조정이 쉽지 않음을 미국에 적극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1985년 플라자합의 때와는 대상국도, 대미 무역훅자 규모, 민간 비중 등 많은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마라라고 협정 실현 가능성이 낮지만, 플라자합의 후 달러 가치는 1년 만에 엔화의 절반으로 떨어졌고 엔화 나홀로 강세로 일본 수출은 타격을 입고 장기 침체에 빠지며 ‘잃어버린 30년’의 서막이 됐던 역사적 교훈을 유념해야 한다”며 “한중일 협력 등을 통해 공동 대응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