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5/1663984_678452_381.jpg)
국내 수출기업들이 트럼프 정부의 잦은 관세 변경과 경기 악화에 따른 불확실성을 우려하며, 정부에 대미 관세 인상 최소화를 위한 전략적 협상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시장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내 매출 상위 1000대 기업 중 수출기업 150개사를 대상으로 '미국 관세정책 영향 및 대응과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가장 큰 경영 애로요인으로 △관세정책 변경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24.9%)와 △관세분쟁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악화(24.0%)가 꼽혔다고 26일 밝혔다.
이어 △미국 수출 감소(18.8%) △환율변동 리스크 증가(17.5%) △중국의 덤핑수출 피해(10.5%) 순으로 조사됐다.
![[출처=한국경제인협회]](https://cdn.ebn.co.kr/news/photo/202505/1663984_678453_3836.png)
■"단가 협상이 최대 난제"…현장 실무 부담 커져
실제 실무 차원에서 기업들이 겪고 있거나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애로사항으로는 △미국 수입업체와의 단가 조정 협상(53.4%)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미국 현지 통관 절차 관련 정보 부족(21.3%), △원산지 판정 기준 관련 세부정보 파악(13.3%) 등의 어려움도 확인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지속될 경우 2025년 국내 수출기업의 전체 수출은 전년 대비 평균 4.9%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 예상 감소율은 △전기·전자 8.3% △자동차·부품 7.9% △석유화학·석유제품 7.2% △일반기계 6.4% △반도체 3.6% △철강 2.8% 순이었다.
반면 △선박(10.0%)과 △의료·바이오헬스(1.6%)는 관세정책에도 수출 증가가 예상됐다. 이에 따라 대기업들의 전체 매출은 △6.6%, 영업이익은 △6.3%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수출 다변화·비관세장벽 해소 협상 병행해야"
관세정책에 대한 기업들의 자체 대응 방안으로는 △수출시장 다변화(26.9%) △글로벌 생산·조달·물류 구조 재조정(19.8%) △환율 리스크 관리 강화(16.5%) △동종 업계 공동 대응체계 구축(15.1%) 등이 우선순위로 제시됐다.
정부가 취해야 할 대응책으로는 △미국과의 협상을 통한 관세율 최소화(44.6%)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수출시장 다변화 지원(13.6%) △면세 대상품목 최대화(13.1%) △경쟁국과 동일한 관세율 적용(9.4%) △금융 및 세제지원(9.4%)이 뒤를 이었다.
![[출처=한국경제인협회]](https://cdn.ebn.co.kr/news/photo/202505/1663984_678454_3920.png)
특히 한미 간 협상에서 우리 정부가 사전에 준비해야 할 사항으로는 △미국이 주장하는 비관세 장벽 해소 노력(45.3%)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혔고, 그 외 △금리 인하(23.4%) △조선산업 협력방안 제시(12.5%) △미국 제품 수입 확대(8.9%) 등이 제시됐다.
■환율리스크 대응도 과제로…"평균 1433.2원 전망"
기업들은 2025년 평균 원·달러 환율을 1433.2원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출입 단가 조정(22.3%) △수출시장 다변화(20.8%) △생산성 향상을 통한 경쟁력 강화(19.8%) △원자재 및 부품 수입처 다변화(17.3%) △환헤지 전략 확대(10.1%) 등을 꼽았다.
전체 응답 기업 중 81.3%는 미국 정부의 관세정책이 한미 양국 기업 모두에게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답했으며, 84.0%는 이러한 관세분쟁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출처=한국경제인협회]](https://cdn.ebn.co.kr/news/photo/202505/1663984_678455_3941.png)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미국의 무역적자 지속과 신용등급 강등, 후속 협상 난항 등으로 관세정책 불확실성이 여전히 상존한다"며 "정부는 비관세장벽 해소와 함께 국내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정밀한 협상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미, 한국에 '무역장벽보고서 지적사항' 제기…비관세 장벽 해소 압박
- 해외 생산 아이폰에 25% 관세 방침…트럼프 "삼성도 해당…6월 말 시작"
- 미-EU 무역전쟁 재점화…트럼프 "6월 1일 관세 강행"
- 'AI 시대 디지털 주권과 사이버 안보' 세미나...27일 여의도 FKI타워
- "관세 압박에"…日 4월 대미 수출 4개월 만에 감소
- [현장] 가파른 원화 절상, 자본시장 우려…"日 사례 경계해야"
- "사이버 무기는 국가 권력"…美 백악관 출신 뉴버거, 민관 협력 강조
- [21대 대선] 후보자들, 불황 빠진 K-석유화학 살릴 묘책은?
- 한경협·서울시향, 여름밤 클래식 음악회 개최
- 한경협, 美 의회 자선야구대회서 '코리아 세일즈' 돌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