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웹툰 로고. [출처=네이버웹툰]
네이버웹툰 로고. [출처=네이버웹툰]

지난해 여성혐오 논란을 일으킨 웹툰 '이세계 퐁퐁남'으로 불매운동을 겪은 네이버웹툰이 운영 미흡함에 대한 사과와 함께 재발을 막기 위한 운영원칙 개정안을 내놨다. 

네이버웹툰은 29일 '게시물 및 커뮤니티 가이드라인'(구 네이버웹툰 이용과 관련한 운영 원칙)을 개정하고 다음 달 30일부터 이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전까지는 정식 연재작과 아마추어 플랫폼 '베스트도전', '도전만화' 속 웹툰만 운영 원칙을 적용했다면, 앞으로는 댓글과 네이버웹툰 자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역할을 하던 작가 홈 등 모든 게시물을 네이버웹툰이 관리한다.

개정된 가이드라인에서는 부적합 게시물을 항목별로 재분류하고 예시를 구체적으로 들었다. 

'인종·국가·민족·지역·나이·장애·성별·성적지향이나 종교·직업·질병 등을 이유로, 특정 집단이나 그 구성원에 대하여 차별을 정당화·조장·강화하거나 폭력을 선전·선동하는 표현', '맥락 없이 혐오 표현 기호를 사용하는 경우' 등을 들었다.

네이버웹툰은 이 같은 부적합 게시물을 올린 경우 게시물은 물론 이용자 계정에도 제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고 명시했다.

또 이에 따라 네이버웹툰에 손해가 발생할 경우 보상을 청구할 수도 있다고 했다.

네이버웹툰은 공지사항을 통해 "이번 개정은 다양성과 포용성, 진정성, 창작의 자유라는 네이버웹툰이 지향하는 핵심 가치를 기반으로 이용자와 창작자 모두가 건강한 공간에서 더욱 즐겁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라며 "그동안 운영의 미흡함으로 인해 불편을 겪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 번 깊이 사과 드린다"고 밝혔다.

네이버웹툰은 지난해 10월 여성 혐오 표현과 내용을 담은 아마추어 웹툰 '이세계 퐁퐁남'을 공모전 1차 심사에서 통과시켰다가 불매운동을 겪었다. 일부 이용자는 검열 기준 재정립을 요구하며 네이버 사옥 앞에 근조화환과 항의성 시위 트럭을 보냈다.

이에 네이버웹툰은 지난해 12월 외부자문위원회를 발족했고 창작자·이용자 설문조사를 거쳐 운영 원칙을 손질했다.

자문위는 "네이버웹툰 플랫폼에 대한 창작자 및 이용자의 기대 수준이 예상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하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이번 개정안에 자문위의 권고 사항이 잘 반영됐다고 평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