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서버 시장 규모. [출처=한국IDC]
국내 서버 시장 규모. [출처=한국IDC]

국내 서버 시장이 생성형 AI 확산과 함께 폭발적으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GPU 서버가 중심이 된 시장 재편이 가속화되는 양상이다.

한국IDC는 '국내 서버 컴핏 보고서'에서 2024년 국내 서버 시장이 전년 대비 72.7% 급성장해 5조142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특히 GPU 서버가 2023년에 이어 세 자릿수 성장률을 이어가며 시장 성장을 주도했다. 8 GPU 서버는 고성능 딥러닝 학습과 슈퍼컴퓨터 등 대규모 연산에 쓰이는 고가 장비다. 2023년 국내 서버 시장에서 GPU 서버가 차지하는 비중은 26.2%였지만, 2024년에는 45%로 급증했다.

한국IDC는 "생성형 AI 확산으로 인해 대규모 모델의 학습과 추론을 위한 GPU 서버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존에는 CPU 중심의 서버 인프라가 일반적이었으나, 병렬 연산에 강점을 가진 GPU가 AI 연산의 핵심으로 부상하면서 서버 시장의 중심축이 GPU로 옮겨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GPU가 탑재되지 않은 ‘비(非) GPU’ 서버 역시 지난해 29.6% 성장했다. 팬데믹 이후 하드웨어 공급이 안정되면서 제조업과 디지털 서비스 기업들이 랙서버를 다시 도입한 것이 배경으로 풀이된다.

서버 시장의 주류인 x86 서버도 지난해 급성장했다. 한국IDC에 따르면, 2024년 국내 x86 서버 시장은 전년 대비 75.6% 증가해 4조7215억원에 이르렀다. 인텔의 아키텍처 기반인 x86 서버는 민간 기업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도입되고 있다.

반면, 금융·공공·국방 등 보안성과 안정성이 중요한 분야에서는 여전히 non-x86 서버가 사용되고 있다. 이 부문에서도 ARM 기반 서버 수요가 확대되며 2024년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45.7% 증가한 4210억원을 기록했다.

김민철 한국IDC 수석연구원은 "AI 중심의 예산 확대와 함께 기존 장비의 교체 및 유지보수에도 균형 잡힌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