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세종시 KDI국제정책대학원에서 열린 '한국경제학회·KDI 국제정책대학원 공동 워크숍'에서 최지희 카카오 정책아젠다 책임이 소상공인 프로젝트 '단골'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출처=카카오]
12일 세종시 KDI국제정책대학원에서 열린 '한국경제학회·KDI 국제정책대학원 공동 워크숍'에서 최지희 카카오 정책아젠다 책임이 소상공인 프로젝트 '단골'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출처=카카오]

카카오의 소상공인 상생 프로젝트 '단골'이 '마케팅의 대부'로 불리는 필립 코틀러 교수의 저서 한국어판에 수록된다.

14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프로젝트 단골'은 필립 코틀러 노스웨스턴대 석좌교수의 핵심 저서 '현대 마케팅의 핵심'(Essentials of Modern Marketing) 한국어판에 포함될 예정이다. 이 저서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비즈니스·마케팅 분야의 입문용 교재다.

2022년 시작된 '프로젝트 단골'은 카카오톡 채널, 카카오맵 등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과 마케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카카오는 이를 통해 지난해 말까지 소상공인 6만6000여명에게 263억원 규모의 톡채널 메시지 발송 비용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이 지원으로 전국 212개 전통시장과 15개 지역 상권에서 2800여개의 톡채널이 새로 개설됐고, 약 73만명의 단골 고객이 유입됐다.

이 프로젝트는 지난 12일 열린 '한국경제학회·KDI국제정책대학원 공동 워크숍'에서도 모범 사례로 소개됐다.

루시아 쿠스마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소기업·기업가정신 총괄은 "디지털이 중심인 현시대의 환경에서 디지털 접점이 없는 소상공인은 소외되기 쉽다"며 "카카오 프로젝트 단골은 옛 방식을 고수하거나 바쁜 일상 속 시간을 내기 부담스러운 소상공인들이 적은 노력으로도 디지털 접점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모범 사례"라고 평가했다.

카카오는 워크숍에서 상인들이 톡채널을 통해 고객과 직접 소통하며 매출 증대를 이룬 실제 사례들을 소개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