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출처=EBN]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출처=EBN]

올해 분양가상한제(분상제) 적용 아파트 단지들이 일반 분양 단지보다 월등히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18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전국에서 분양한 72개 단지 가운데 분상제가 적용된 22개 단지의 1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은 26.2대 1로 집계됐다. 이는 분상제가 적용되지 않은 나머지 50개 일반 단지의 평균 경쟁률(4.0대 1)보다 6배 이상 높은 수치다.

서울 지역에서 공급된 분상제 단지의 경우 높은 분양가 경쟁력과 입지 장점이 맞물리며 수요가 크게 몰렸다. 서초구 방배동에서 분양한 '래미안 원페를라'는 1순위 경쟁률이 151.6대 1을 기록했고, 고덕강일지구의 마지막 민간분양 단지인 '고덕강일대성베르힐'도 97.4대 1에 달하는 경쟁률을 보였다. 두 단지 모두 인근 시세 대비 30% 이상 저렴한 분양가가 강점으로 작용했다.

전국 최고 경쟁률을 기록한 단지는 경기도 하남시 교산지구에 공급된 ‘교산 푸르지오 더퍼스트’다. 이 단지는 201가구 모집에 무려 5만2,920명이 몰리며 263.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서울 송파와 인접한 입지에 더해, 전용면적 59㎡의 분양가가 5억 원대로 책정되며 실수요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 외에도 충북 청주테크노폴리스의 마지막 분양 물량인 '아테라2차'는 109.7대 1, 고양창릉 S-5블록은 96대 1로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분상제는 공공택지 등 특정 조건을 갖춘 지역의 신규 분양 주택에 대해 정부가 정한 기준 이하로 분양가를 제한하는 제도다.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분양가로 인해 수억 원대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어, 분상제 단지는 통상 청약 수요가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다만 모든 분상제 단지에서 청약 성적이 우수한 것은 아니다. 직방은 “부천, 양주 등 일부 지역에서는 분상제 단지임에도 불구하고 청약 미달 사례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이어 “분상제가 가격 경쟁력을 높여주는 요소이긴 하나, 실제 청약 성패는 입지 조건, 생활 인프라, 지역 내 주거 수요 등 복합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