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김채린 기자]
[출처= 김채린 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인공지능(AI) 산업에 16조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국내 플랫폼 대기업 중 카카오가 대표적인 수혜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경기 남양주시 3기 신도시 왕숙지구에 AI 디지털 허브를 조성하고, 오픈AI와의 협업을 통해 슈퍼 에이전트 개발에 나선 카카오는 정부 정책의 핵심 방향과 보폭을 맞추며 AI 중심의 신성장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20일 IT업계 등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국정기획위원회 보고를 제출했다. 제출한 업무계획에 따라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16조원 이상을 투입해 AI 기술력 확보에 나설 방침이다.

아울러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총 100조원 규모의 AI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이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 공개된 대규모 투자 계획으로, 향후 국정운영의 핵심 축이 AI에 놓일 것임을 시사했다.

시장의 관심은 단연 카카오에 집중되고 있다. 정부의 정책 방향과 보폭을 맞춘 카카오는 경기 남양주시 3기 신도시인 왕숙에 6000억원 규모의 ‘AI 디지털 허브’ 구축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및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과 협약을 체결했으며, 인프라 설계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허브는 국내 AI 기술의 거점이자 관련 스타트업과의 협업 플랫폼으로 기능할 예정이다.

동시에 카카오는 글로벌 AI 선도 기업인 오픈AI와 협업해 ‘한국형 슈퍼 에이전트’를 개발 중이다. 연내 출시 예정인 이 슈퍼 에이전트는 카카오톡, 커머스, 모빌리티, 핀테크 등 자사 서비스 전반에 오픈AI의 최신 AI 모델을 결합한 형태다.

사용자는 AI 비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상 속 대부분의 서비스를 하나의 채널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카카오 측은 “국민 메신저와 AI의 결합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 경험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카카오가 AI 전략에 속도를 높이는 배경에는 기존 주력 서비스의 성장 정체와 플랫폼 규제 리스크가 있다.

카카오톡과 카카오T, 멜론 등 주요 서비스는 포화 상태에 접어들었고, 금융 및 모빌리티 사업에 대한 정부 규제도 이어지고 있다. AI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고, 기술 기반의 서비스 전환을 꾀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AI 테마의 부상은 단순한 기대감에서 그치지 않고, 정부의 정책 방향성과 기업의 실질적 투자 행보가 맞물리며 신뢰를 얻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카카오의 경우, 기존 플랫폼 기반 위에 AI를 접목해 본질적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이 클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 한 관계자는 "규제를 비롯해 아직 사법 리스크 등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사업 방향성 자체는 긍정적"이라며 "다만, 투자적 관점에서능 정치 테마주로 엮이는 것은 아닌지 살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