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금융감독원원]
[출처=금융감독원원]

국내 주요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이 일제히 하락했다. 글로벌 금리 변동성과 보험부채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은 전이·집중위험에 대한 관리 강화에 나설 방침이다.

2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말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에 따르면 △교보 △DB △다우키움 △삼성 △미래에셋 △한화 △현대차 등 7개 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은 174.3%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말(193.7%) 대비 19.4%p 하락한 수치다. 금융복합기업집단법상 규제비율인 100%는 상회하고 있으나, 하락 폭이 커 업계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자기자본은 171조1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4.7조원(2.7%) 감소했다. 금감원은 금리 하락에 따른 보험부채 증가로 보험계열사의 기타포괄손익 누계액이 크게 줄어든 점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반면 통합필요자본은 98조1000억원으로 7조3000억원(8.1%) 증가했다. 해외 금융회사의 자산규모 확대와 보장성 보험 판매 증가로 보험계열사의 장해·질병위험액이 늘어난 영향이다.

기업집단별로 보면 △교보(201.4%) △DB(195.0%) △다우키움(193.8%) △삼성(185.1%) △미래에셋(164.2%) △한화(154.9%) △현대차(146.9%) 순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미래에셋만 전년 대비 8.7%p 상승했으며, 나머지 그룹은 모두 하락했다. 특히 교보는 37.5%p 급락해 201.4%를 기록했고, △삼성(-25.4%p) △DB(-23.7%p) △한화(-17.4%p) 등도 두 자릿수 하락 폭을 보였다.

금감원은 전반적인 자본적정성 비율이 규제 수준을 웃돌고 있는 만큼 손실흡수 능력은 양호하다는 평가를 내렸다. 다만 미국 관세정책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만큼 금융시장 변동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아울러 내부거래와 공동투자 등을 통한 전이·집중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관련 잠재 위험요인에 대한 관리도 강화할 방침이다.

한편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총자산은 1328조9000억조원으로 전년 말(1239조9000억원) 대비 89조1000억원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은 13조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2조4000억원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급격한 금리 변동과 보험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그룹별 재무구조를 세밀히 점검하겠다”며 “금융복합기업집단의 건전성과 시장 안정성 유지를 위해 선제적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