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가트너]
[출처=가트너]

2027년 말까지 에이전틱 AI 프로젝트의 40% 이상이 비용 증가, 불확실한 비즈니스 가치, 미흡한 리스크 관리 등으로 인해 중단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25일 시장 조사기관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현재 대부분의 에이전틱 AI 프로젝트는 초기 실험 또는 개념 검증(PoC)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잘못된 적용 사례가 늘고 있다.

아누쉬리 버마 가트너 시니어 디렉터 애널리스트는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과대광고에 이끌려 추진되고 있으며, 실제 도입에 필요한 복잡성과 비용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며 "에이전틱 AI는 무조건적인 열광보다는 신중한 전략과 실질적인 적용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가트너가 2025년 1월 웨비나 참석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 19%는 에이전틱 AI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 42%는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반면 △ 8%는 투자를 전혀 하지 않았고 △ 31%는 아직 확신을 갖지 못하거나 상황을 지켜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마 애널리스트는 "현재의 에이전틱 AI 모델은 복잡한 목표를 자율적으로 달성하거나 변화하는 지시를 유연하게 수행할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며 "ROI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오히려 기술 과잉 상태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가트너는 최근 에이전틱 AI 시장에 '에이전트 워싱(agent washing)' 현상이 번지고 있다고도 경고했다. 이는 실제 에이전트 기능이 없는 AI 어시스턴트, 챗봇, RPA(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등을 마치 고도화된 에이전틱 AI처럼 포장해 홍보하는 행위다. 가트너는 시장에 수천 개의 에이전틱 AI 공급업체가 존재하지만, 이 중 실제 기술력을 갖춘 곳은 약 130개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

에이전틱 AI의 도입은 많은 기술적·비즈니스적 과제를 동반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업무 자동화와 효율성, 혁신적 전환을 이끌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가트너는 자율적인 일상 업무 결정 비율이 △ 2024년 0% 수준에서 △ 2028년에는 15%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 2028년까지 전체 기업용 소프트웨어의 33%가 에이전틱 AI 기능을 포함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2024년 1% 미만에서 비약적으로 증가하는 수준이다.

가트너는 에이전틱 AI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 △ 명확한 ROI 확보 △ 기존 시스템에 대한 무리한 통합 회피 △ 처음부터 에이전트 중심으로 재설계된 워크플로우 구축을 권장했다. 복잡한 기존 시스템에 AI 에이전트를 덧붙이는 방식은 기술적 부담과 비용 상승, 워크플로우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버마 애널리스트는 "에이전틱 AI는 단순한 보조 역할을 넘어, 생산성 향상과 비즈니스 가치 창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기업은 반복적 업무 자동화, 의사결정 지원, 정보 검색 보조 등의 영역부터 시작해 점진적으로 확장해 나가는 전략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