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삼성생명, 챗GPT 생성 이미지.]
[출처=삼성생명, 챗GPT 생성 이미지.]

50대 A씨는 자신 사망 후 자녀들매년 4000만원씩 지급되도록 설계했다. 이는 보험금청구권 신탁이 단순한 자산 이전 수단에 머물기보다 생전에 가족을 향한 의지를 실현하고 삶의 가치를 전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삼성생명은 지난달 말 기준 보험금청구권 신탁이 누적 계약 600건, 누적 금액 2300억원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지난해 말 240건, 1000억원에서 5개월 만에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월평균 신규 계약 금액이 약 260억원에 달할 정도로 호응을 얻고 있다.

보험금청구권 신탁은 사망보험금을 유족에게 일시에 지급하는 대신, 고객이 미리 설정한 조건과 시점에 따라 지급되도록 설계된다.

특히 삼성생명은 컨설턴트의 체계적인 고객 관리와 패밀리오피스, FP센터 등 자산관리 조직의 전문 컨설팅 역량을 기반으로 보험금청구권 신탁을 빠르게 확산시키고 있다.

삼성생명 보험금청구권 신탁 계약을 살펴보면, 가입 고객의 연령층은 4050 세대가 55%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60대 이상 비중도 25%에 달해 고령층의 은퇴자산 관리 수요가 많다는 점을 보여준다.

계약금액은 1억~3억원 구간이 41%로 가장 많았다. 3억~10억원이 23%, 10억원 이상은 9%로 확인됐다. 평균 계약금액은 3억8000만원에 달한다. 

수익자 지정은 자녀가 59%로 가장 많았다. 배우자 21%, 직계존속(부모) 17%, 손자녀는 3%다. 특히 손자녀를 수익자로 지정한 계약의 평균 금액은 6억4000만원으로 최고 높았다. 

보험금청구권 신탁은 치매 등으로 본인의 의사 표현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사전에 설정한 방식대로 보험금을 운용할 수 있어, '치매머니' 해결책으로도 거론된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보험금청구권 신탁은 고객이 남기고 싶은 진심을 구체적으로 실현해 주는 상품"이라며, "앞으로도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 맞춘 맞춤형 상속 솔루션을 통해, 보험의 본질적 가치를 넓혀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