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생성이미지. [출처=오픈AI]](https://cdn.ebn.co.kr/news/photo/202507/1669451_684889_213.png)
지난달 말 정부가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6억원 한도로 제한하는 고강도 대출 규제를 발표한 직후, 은행권 대출 신청액이 절반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의 대출 규제 발표 후 첫 주(6월 30일~7월 3일) 은행권 서울 지역 일평균 주담대 신청액은 3500억원대로, 직전 주(6월 23~27일) 일평균 신청액 7400억원대에 비하면 52.7% 감소했다.
예고 없이 대출 규제 발표가 이뤄진 지난달 27일에는 하루 신청액이 1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출 규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대출 신청액과 승인액을 중점적으로 보고 있다.
이는 가계대출 실행액은 주택 매매와 1~3개월가량의 시차가 발생하는 반면, 대출 신청액 등은 매매 계약 시점과 시차가 크지 않아 시장 심리와 동향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 지역의 대출 신청액이 눈에 띄게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최근 강남권 아파트 가격이 워낙 급등했기 때문에 대출액 규모도 클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며 "대출액 감소 추세도 강남 3구와 마용성에서 두드러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강남권 아파트 매수 심리는 두 달 만에 꺾였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다섯째 주(6월 30일 기준) 기준 서울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8.8로 전주 대비 2.4포인트 하락, 5월 첫째 주(100.8) 이후 7주 연속 상승하던 지수가 하락 전환됐다.
금융당국이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절반으로 감축한 영향으로 은행들이 소극적으로 주담대를 취급하면서 신청액이 줄어든 영향도 있다.
올해 하반기 가계대출은 금융당국 목표치 감축에 따라 기존 총량 목표 대비 10조원 이상 줄어야 한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신청이 들어오는 대로 다 받으면 목표치를 맞출 수 없는 상황"이라며 "물량 취급 자체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시장과 언론에 매달 공표되는 대출 실행액 기준으로는 이달에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1~2개월 전 거래를 마치고 주담대 신청을 미리 해둔 규모만도 상당해 7월 대출 증가세가 확 꺾이긴 어려운 것으로 분석된다.
주담대 조이기에 개인사업자대출 등에 수요가 쏠리는 '풍선효과'도 우려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개인사업자 대출 등 법인 대출이 투기 경로에 쓰이는지 더 정밀하게 볼 것"이라며 "대출 재원이 더 생산적 분야에 유입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