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노태문 사장이 '삼성 갤럭시 언팩 2025' 행사 직후 국내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출처=삼성전자]
7월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노태문 사장이 '삼성 갤럭시 언팩 2025' 행사 직후 국내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출처=삼성전자]

삼성전자가 ‘갤럭시 AI’를 연말까지 4억대의 기기에 탑재하겠다는 야심 찬 청사진을 제시했다. 스마트폰을 넘어 웨어러블과 가전까지 아우르는 ‘AI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승부수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사장은 9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작년 2억대 목표의 두 배인 4억대 이상의 기기에 갤럭시 AI를 확대 탑재해 모바일 AI 대중화를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노 사장은 “AI가 생활 속에 깊이 들어올수록 이를 담아내는 스마트폰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진다”며 AI에 최적화된 하드웨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에 공개된 7세대 폴더블폰(갤럭시 Z 폴드7·플립7)은 사용자가 AI와 더욱 직관적으로 소통하는 창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카메라가 사용자의 눈이 돼 실시간으로 상황을 인지하고 반응하는 멀티모달 AI는 기기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근본적으로 바꿀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그는 “갤럭시 AI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갤럭시 생태계 전체를 연결하고 확장하는 핵심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은 또한 헬스케어 역량을 강화해 소비자에게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방침이다. 노 사장은 “웨어러블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일상 건강 데이터와 의료 서비스를 잇는 ‘커넥티드 케어’ 플랫폼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인수한 의료 플랫폼 ‘젤스(Xealth)’를 통해 갤럭시 워치가 측정한 생체 데이터를 병원 의료 기록과 연결해 병원 밖에서도 유기적인 건강 관리를 지원할 계획이다.

노 사장은 “자연스러운 멀티모달 경험, 기기간의 유기적 연결성, 개인화된AI 경험과 철저한 보안은 삼성만이 제공할 수 있는 독보적인 가치”라며 “앞으로의 10년 그 이후까지도 AI 혁신을 통해 시장을 선도하며 모두를 위한 미래를 열어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