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7/1670880_686581_616.jpg)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가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 국민 우려가 높은 쌀 수입 쿼터 확대 및 30개월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요구에 대해 엄중한 상황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조선산업 기능의 해수부 이전은 일본의 사례를 들며 반대 목소리를 분명히 했다.
17일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에 참석한 김정관 후보자는 "공무원 생활을 시작하던 시절 우루과이라운드 협상을 통해 농민들이 큰 어려움을 겪었던 것을 생생히 기억한다"며 "시장 개방과 농민의 삶이 밀접히 연관돼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 협력을 대미 협상의 지렛대로 삼아야 한다"는 서일준 의원의 주장에 대해 김 후보자는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대한민국 조선업이 가진 고유 제조역량은 미국에 없는 것으로 협업 시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에너지 정책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재생에너지, 원자력, 수소 등 모든 에너지원을 조화롭게 구성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며 윤석열 정부 시절 확정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변함없이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11차 전기본에는 신규 원전 2기 및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 재생에너지 확대 등이 포함됐다.
정부 조직 개편 과정에서 산업부의 조선·해양플랜트 기능을 해양수산부로 이관하자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는 강하게 반대했다.
김정관 후보자는 "조선산업은 단순 물류나 해운 문제가 아니라 기계·소부장·디지털 등과 연결된 복합산업"이라며 "산업 연계성 차원에서 산업부가 맡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했다.
이어 "조선과 해운을 통합 운영했던 일본이 산업 연계성을 놓치면서 경쟁력을 상실한 경험을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석유화학산업의 위기와 관련해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산업부 차원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정관 후보자는 "취임 후 빠른 시일 내 발표하고 관련 법 개정을 통해 기업의 사업재편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