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과의 대규모 무역합의 체결을 공식 발표하면서 일본산 수입품에 15%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합의를 “역사상 가장 큰 무역합의 중 하나”로 평가하면서 미국에 대한 대규모 일본 투자와 자국 시장 개방을 핵심 성과로 꼽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본인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일본이 미국에 약 5500억 달러(한화 약 770조 원)를 투자하기로 했다”면서 “이로 인해 창출될 수십만 개의 일자리는 물론 미국이 이 수익의 90%를 가져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협정의 핵심은 일본이 자동차, 트럭, 쌀 및 주요 농산물에 대한 시장을 개방하는 데 있다”면서 “미국에게 있어 매우 흥미로운 시기로 특히 일본과의 관계가 더욱 견고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은 미국에 15% 상호관세를 지불할 것”이라며 무역적자 축소를 위한 보호무역 기조를 재확인했다. 이는 과거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한 관세 조치와 유사한 접근으로 일본의 산업계에도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이번 무역합의 발표는 미일 간 관세협상이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나온 것이다. 일본 정부 역시 투자 확대와 미국산 제품 수입 증대를 통해 양국 간 균형 잡힌 무역관계를 도모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은 백악관에서 직접 면담을 갖고 일본 측 제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카자와 재생상은 방미 일정 중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등과도 잇따라 회담을 진행하면서 최종 협상 마무리에 주력하고 있다.

관세 부과 시점으로 알려진 오는 8월 1일이 임박한 가운데, 미일 양국의 공식 합의 발표 여부와 세부 조건이 주목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무역합의 발표를 통해 자국 산업 보호와 일자리 창출, 무역 균형 회복이라는 자신의 경제 철학을 재차 부각시키며, 차기 대선을 앞두고 지지층 결집에 나서는 모양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