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전남 여수 NCC(나프타분해시설) 공장 전경. [출처=LG화학]
LG화학 전남 여수 NCC(나프타분해시설) 공장 전경. [출처=LG화학]

LG화학은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11조4177억원, 영업이익 4768억원의 실적을 거뒀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은 6.7%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21.5% 증가했다.

차동석 LG화학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분기는 미국 관세분쟁과 중동 정세불안에 따른 글로벌 수요 약세, 전기차 보조금 조기 종료를 앞둔 고객사들의 보수적인 재고 운영 등으로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됐다"고 말했다.

사업 부문별 실적을 살펴 보면 석유화학부문의 2분기 매출은 4조6962억원, 영업손실은 904억원을 기록했다. 구매 관망세가 이어졌고, 부정적인 환율 영향도 컸다. LG화학은 3분기부터 신증설 사업의 정상화와 비용 절감을 통해 수익성 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첨단소재부문의 경우 매출은 1조605억원, 영업이익은 70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지재료 출하는 감소했으나, 전자소재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고부가 제품의 매출이 견조했다. 3분기에도 전기차용 전지재료 수요 둔화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생명과학부문은 매출 3371억원, 영업이익 246억원을 기록했다. 백신, 항암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등 주요 제품 매출이 안정적이었다. 3분기에는 희귀비만치료제 기술수출 계약금 수취로 실적 상승이 예상된다.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은 매출 5조5654억원, 영업이익 4922억원의 실적을 올렸다. 원통형 배터리 출하량 증가, 전력망 프로젝트 중심의 에너지저장장치(ESS) 생산 본격화로 수익성을 방어한다는 전략이다.

그린바이오 자회사 팜한농은 매출 2424억원, 영업이익 125억원으로 나타났다. 2분기 수익성이 전년 대비 하락했지만, 하반기에는 작물보호제 매출 확대로 수익성이 개선될 전망이다.

LG화학은 "하반기에도 수익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운영과 비용 효율화에 집중해 외부 변수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