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뉴스]
[출처=연합뉴스]

오는 25일 열릴 한미 정상회담에서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비롯한 양국 간 조선 협력 방안이 유지·보수·정비(MRO) 위탁, 조선소 인수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는 미국 싱크탱크의 분석이 나왔다.

1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최근 '미국과 동북아 동맹국의 조선 협력 경로' 보고서에서 실현 가능성이 높은 4가지 방안을 분석했다.

보고서에서 제시된 협력 방안은 △미국 선박 MRO 위탁 △동맹국의 미국 조선소 인수 △미국과 동맹국의 군함 공동생산 △동맹국 조선소에서 건조된 함정 구매 등 4가지다.

우선 MRO 협력은 공급망 강화, 항만의 전략적 활용 등 측면에서 미국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고 미국 내 조선소가 설비·공정을 현대화하는 여유도 확보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군용 조선소 인수, 비(非)군용 조선소 인수 후 개조, 정부 소유·민간 운영(GOCO), 미국·외국 기업 간 합작투자 또는 컨소시엄 구성 등이 거론됐다. 이를 통해 미국 조선소의 생산성 향상은 물론 범용 자재와 부품의 대량 구매가 가능해져 원가 절감 효과도 기대됐다.

또한 모듈화 공법을 통한 공동 건조가 제시됐다. 미국 조선소가 동맹국으로부터 선체 모듈을 공급받아 조립하는 방식도 있고 해외에서 선체를 만들면 미국 조선소가 무기·추진체계 등을 통합시키는 시스템도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미국 해군이 동맹국 조선소에서 건조된 함정을 구매 가능할 것으로 봤다. 동맹국 조선소가 미국 설계를 기반으로 건조하는 방안, 동맹국과 공동 설계하고 동맹국 조선소에서 건조하는 방안, 동맹국이 설계·건조하는 방안 등이 담겼다.

다만 보고서는 미국 조선 산업에 대한 전통적인 보호주의 정책 기조 등을 감안할때 네번째 방안이 가장 어렵고 실현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분석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