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후면부 긁힘 사고 흔적. 금감원은 수리비 중복 청구 등 허위 보험 청구가 매년 증가한다고 밝혔다. [출처=제보자]
자동차 후면부 긁힘 사고 흔적. 금감원은 수리비 중복 청구 등 허위 보험 청구가 매년 증가한다고 밝혔다. [출처=제보자]

차량 후면을 긁히는 사고를 당한 A씨는 자신이 가입한 자동차보험의 자기차량손해 담보를 이용해 B보험사에 수리비를 청구했다. 그러면서 과거 사고까지 이번 사고로 발생한 손해처럼 꾸며 중복 청구했다.

이에 B보험사는 사고 및 보험금 수령 내역을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수사기관에 통보했다. 이는 전형적인 보험사기로 수사기관에 수사를 의뢰할 수 있는 사안이다. 

금융감독원은 20일 이 사례를 포함해 주요 자동차보험 사기 유형과 대응 요령을 안내했다. 금감원은 △종전에 받은 수리비의 중복 청구 △정비업체와 공모한 허위 청구 △사고로 파손된 휴대품의 이중 배상 △중고차 매매 시 하자 은폐 후 수리비 허위 청구 등을 대표적 수법으로 꼽았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보험 허위 청구 규모는 약 2087억 원으로, 매년 늘고 있다. 

금감원은 “자동차 수리비를 중복 청구할 경우 보험사기로 처벌될 수 있다”며 “정비업체가 허위 청구를 권유할 때는 보험사나 금융감독원에 적극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