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현대제철]
[출처=현대제철]

대미(對美) 철강 수출이 전년 대비 25% 급감했다.

25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7월 우리나라의 미국 철강 수출액은 2억8341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23년 1월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수출액 기준으로는 2021년 3월 이후 최저치다.

물량 기준으로도 19만4000톤을 수출했다. 이 역시 전년 대비 24.3% 급감한 수치다.

7월 철강 수출 급감과 함께 미국의 고율 철강 관세에 대한 우려가 깊어진다.

미국은 지난 3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 부과를 결정했으며, 6월에는 이를 50% 상향했다. 여기에 최근에는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파생상품을 407종으로 확대했다.

한아름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미국이 철강 관세를 25% 부과한 데 이어 50%로 인상한 영향이 시차를 두고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 철강 업계는 미국의 25% 관세 부과에도 미국 철강 업계가 국내 가격을 인상하면서 큰 타격을 받지는 않았는데, 관세가 50%로 인상된 뒤에는 부담이 커져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 철강업계 선두 주자인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현지 제철소 건립 추진을 통해 미국 고율관세 위기 극복에 나섰다.

현대제철 주도로 추진되는 미국 루이지애나주 전기로 제철소는 총 8조5000억원을 투입해 연간 270만 톤 규모다. 세부적으로는 자동차 강판 180만톤, 일반강 90만톤을 생산하는 수준으로, 그룹 차원의 북미 생산기지 확대 전략의 일환이다.

포스코그룹은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한다. 현재 지분율 및 투자 규모 등에 대해 협의 중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향후 구체적인 사항이 결정되는 시점 또는 6개월 이내 공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