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는 더 전문가 답게, 일반인은 전문가처럼 만드는 것이 LG가 지향하는 바다.”

임우형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이 ‘어텐션 2025’에서 발표하고 있다. [출처=이남석 기자]
4일 임우형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이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개최된 ‘어텐션 2025’에서 발표하고 있다. [출처=이남석 기자]

임우형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은 4일 서울 양자 엘타워에서 개최된 AI(인공지능) 컨퍼런스 ‘어텐션 2025’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AI가 내가 원하는 답변을 내놓을까 라고 고민하던 시기가 불과 몇 년 전이다. 이정도 속도라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전문가들 영역에서도 AI가 많은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달 이상 걸리는 암 발생 예측 인자 검사를 LG의 ‘엑사원 패스(EXAONE Path)’를 통해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됐고, 글로벌 유전체 기관 잭슨랩과 알츠하이머 진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 연구원장은 “최근 메타가 AI 인재 전쟁을 촉발했는데, 이것이 왜 가능해진 걸까를 봐야 한다”며 “100배의 생산성을 만드는 AI 솔루션을 만드는 인재라면 천문학적인 돈을 줘도 괜찮을 것”이라며 AI의 발전 속도와 이를 만드는 인재들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LG AI연구원은 단순히 AI 모델을 만드는 것에 그치지 않고, AI를 실제 산업 현장에 접목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임 연구원장은 자체 개발한 AI 모델인 ‘엑사원’을 다양 한 그룹 계열사가 사용하고 있다며, 대표적인 예시로 LG생활건강을 들었다. LG생활건강은 엑사원을 활용해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출처= ]
임 연구원장이 AI 생태계 조성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다. [출처=진운용 기자]

또 임 연구원장은 AI 생태계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임 연구원장은 “AI가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되고, 생산성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혼자서만은 할 수 없다”며 “에코 시스템 확장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LG는 국가 중점 사업인 ‘독자 인공지능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LG유플러스, LG CNS, 퓨리오사AI 등 10개 기업과 컨소시엄을 형성해 참여하고 있는데, 이외에도 유라클, 마키나락스 등 다양한 기업과도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올해로 2회째를 맞은 컨퍼런스에는 LG 이외에도 엔비디아, 퓨리오사AI, 업스테이지 등 국내외 유수의 기술 기업과 한국수자원공사, 두산에너빌리티, 현대오토에버 등 산업별 리더들이 연사로 참여해 AI 혁신 사례와 비전을 공유했다.

윤성호 마키나락스 대표는 ‘100X 혁신: 산업 AI가 여는 초생산성의 시대’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범용 AI와 달리 센서 데이터 해석, 도면 판독 등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되는 산업 영역에서는 현장의 맥락과 전문성을 반영한 ‘도메인 특화 AI’가 혁신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제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중견기업도 수백, 수천 개의 AI 에이전트를 직접 만들어 활용하는 ‘에이전틱 AI’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