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형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사업부장(오른쪽 두 번째)이 아우디(Audi) AG 기술개발 이사회 멤버인 제프리 부코(Geoffrey Bouquot, 왼쪽 두 번째) 및 3M 첨단소재·운송제품 플랫폼 부문 사장 에이미 맥러플린(Amy McLaughlin, 오른쪽 첫 번째)과 함께 'IAA 모빌리티 2025' 컨퍼런스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는 모습. [출처=삼성디스플레이]
이주형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사업부장(오른쪽 두 번째)이 아우디(Audi) AG 기술개발 이사회 멤버인 제프리 부코(Geoffrey Bouquot, 왼쪽 두 번째) 및 3M 첨단소재·운송제품 플랫폼 부문 사장 에이미 맥러플린(Amy McLaughlin, 오른쪽 첫 번째)과 함께 'IAA 모빌리티 2025' 컨퍼런스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는 모습. [출처=삼성디스플레이]

이주형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사업부장(부사장)이 "삼성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는 자율 주행하는 미래 모빌리티와 사람을 연결하는 디지털 플랫폼이 될 것"이라며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 부사장은 10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5' 컨퍼런스에 패널로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시대에 디스플레이가 운전자와 차량을 잇는 핵심 접점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부사장은 "OLED는 인공지능(AI)과 접목해 주변 사물을 인식하거나 딥러닝을 통해 안전 주행 설루션을 제공하는 등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 인프라로서 다양한 가치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슬라이더블, 롤러블 등 미래형 콘셉트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으며, 시야각 제어 기술(FMP)이나 언더패널카메라(UPC) 등을 통해 차량 내부 디자인과 주행 안전성을 모두 잡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행사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2개 이상 디스플레이를 조합해 대형 화면을 구현하는 '멀티 라미네이션' 설루션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고객은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골라 자유롭게 제품을 디자인하면서도 제품 개발에 투입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 부사장은 "고객은 삼성디스플레이라는 플랫폼에서 새로운 기술과 소재 등을 레고 조립하듯 테스트해보고, 이를 통해 중장기 인포테인먼트 로드맵을 구상하면 된다"며 "삼성디스플레이의 기술 개발 로드맵도 이와 동기화해 필요한 시점에 신속하게 OLED 설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