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맵모빌리티가 자사의 AI(에이전트) 모빌리티 에이전트 서비스 확대를 위해 복수의 완성차 업체들과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티맵모빌리티 박서하 부사장(장)과 전창근 부사장(우)이 18일 서울 을지로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출처=진운용 기자]
티맵모빌리티 박서하 부사장(장)과 전창근 부사장(우)이 18일 서울 을지로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출처=진운용 기자]

박서하 티맵모빌리티 부사장은 18일 서울 을지로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몇몇 자동차 브랜드들과 에이전트 관련 협업 논의를 하고 있다”며 “차량 내 발생하는 말의 50% 이상이 장소와 내비게이션에 관련돼 있고, 이 부분에서 답변을 가장 잘 할 수 있는 건 티맵이기 때문에 복수의 기업과 얘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전날 티맵모빌리티는 업데이트를 통해 LLM(거대언어모델)을 적용한 차량 내 음성 안내 체계를 전면 개편했다.

이번 개편으로 사용자는 음성만으로 경유지를 포함한 경로를 한 번에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근처 주유소 들렀다 집에 가자”고 말하면 목적지인 집과 경유지인 주유소를 함께 인식해 최적의 경로를 안내하는 식이다.

또 운전자가 정확한 지명을 말하지 않아도 AI가 자동으로 교정해 적절한 후보지를 제시한다.

기존에는 유사 지명을 화면에 띄운 뒤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했지만, 이제는 음성만으로 목적지를 지정할 수 있어 더 안전하고 편리한 주행이 가능해졌다.

조건·테마 기반 검색도 새로 도입됐다. “주차 가능한 카페 찾아줘”, “지금 영업하는 식당 어디야”, “분위기 좋은 식당 가자”, “아이와 함께 가기 좋은 곳 알려줘” 등 상황별·취향별 검색도 지원한다.

타맵모빌리티는 와이파이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해 보다 정확한 위치 정보를 확보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화자 발언 기능을 추가해 보안 성능을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박 부사장은 “현재 화자 발언 구분 기능은 지원하고 있지 않지만, 차량 내에서 여러 명이 대화할 때 그 내용이 AI에 들어갈 수 있고 타인이 목소리만으로 내 정보를 빼갈 수도 있다”며 “화자 발언 구분 기능을 업데이트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