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의원들이 19일 KT와 롯데카드를 상대로 해킹 사태에 대한 긴급 현장 조사를 벌였다.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로 국민 불안이 확산되는 가운데, 국회가 본격적인 진상 규명에 나선 것이다.

이날 오후 의원들은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KT 연구개발본부를 방문해 서버 침해 사건과 관련된 피해 상황과 대응 경과를 보고받고, KT 측에 침해 경위와 보안 시스템 운영 실태에 대한 설명을 요구했다.

현장에는 김영섭 KT 대표를 비롯한 임원진과 최우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 이동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디지털위협대응본부장 등 관계 당국자들이 참석했다.

의원들은 KT의 소비자 보호 조치 부실, 늑장 대응에 대해 질타했다. 특히, KT가 보유 중이던 원격상담 시스템 서버를 사건 직후 폐기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집중 추궁한 것으로 전해졌다.

KT 측은 “팸토셀 등 무선 장비의 관리 시스템 전반에 문제가 있었고, 그 부분이 시발점”이라며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을 인정했다.

롯데카드 사옥 [출처=롯데카드]
롯데카드 사옥 [출처=롯데카드]

의원들은 이어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롯데카드 사옥으로 이동해 현장 조사를 이어갔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준현 의원, 김남근 의원도 동행해 카드사 해킹 대응 실태를 점검했다.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롯데카드 해킹으로 CVC 번호 2자리까지 유출된 피해 고객이 28명이나 된다”며 “부정 사용 위험이 커졌고, 사안의 심각성을 감안해 신속한 실태 파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김현 의원도 “통신사뿐 아니라 카드사에서도 국민의 민감한 정보가 유출됐다”며 “소비자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끝까지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과방위는 이날 현장 조사에 이어 오는 24일 국회 청문회를 열어 이번 해킹 사태에 대한 책임 규명에 나설 방침이다.

청문회 증인으로는 김영섭 KT 대표를 비롯해 KT 관계자 3명,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롯데카드 최대 주주인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 등이 채택됐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