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석탄회관에서 이호현 제2차관 주재로 제4차 '석탄발전 전환 협의체' 회의를 열고, 지역 수용성을 고려한 대체산업 추진과 석탄발전 인력 전환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12월 출범 이후 네 번째 공식 회의로, 정부, 지자체, 발전사 관계자가 한자리에 모여 석탄발전 폐지 대응 전략을 심도 있게 점검했다.

회의에서는 △석탄발전에서 LNG로의 원활한 전환 △대체산업별 전환 가능 인력 규모 등 핵심 과제에 대해 활발히 의견을 교환했다.

이호현 제2차관은 모두발언에서 "석탄 인프라 단순 폐지를 넘어 지역 일자리와 성장동력을 지키는 인력·산업 전환 전략이 핵심"이라며 "에너지 신산업 확산으로 신규 인력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석탄발전 종사자들이 LNG, 해상풍력, 송전망 건설·운영 등 신산업 분야로 원활히 전환될 수 있도록 정확한 인력 수요 예측과 체계적 전환 계획 수립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자체는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해 대체사업이 원활히 추진되도록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협력을 요청했다. 발전사들은 폐지되는 석탄 후속사업의 연속적 추진을 통해 안정적 대체일자리 확보 필요성을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대전환을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에 공감하며, 에너지 전환이 일자리 확대와 원활한 인력 전환,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도록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석탄발전 종사자 인력전환 계획을 구체화하고, 현재 국회에서 논의 중인 '석탄발전 폐지지역 지원 특별법'과 연계해 체계적 지역 지원 제도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 특별법과 연계해 '석탄발전 전환 로드맵'에 지역 지원과 에너지 전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할 예정이다.

이 차관은 "이번 논의가 석탄발전 인력과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함께 준비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며 "정부는 지자체, 발전사와 함께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에너지 전환 성과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