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미국 필라델피아의 한화 필리조선소에서 열린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 명명식에 참석했다. 이 대통령 오른쪽은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이 선박은 미국 해양청이 발주한 국가 안보 다목적 선박(NSMV) 5척 중 3호선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9/1679366_696476_597.jpg)
정부가 미국 조선 산업 협력을 위한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이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강화된 관세 장벽에 대응하면서, 조선 분야에서 한미 간 상호 ‘윈-윈’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조치다.
2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한-미 조선해양산업 기술협력센터’ 사업에 총 66억4400만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이 사업은 미국 조선업의 부흥 전략인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와 연계돼, 우리 기업의 대미 투자와 현지 진출을 지원하는 거점 마련을 목표로 한다.
특히 이번 협력의 핵심은 미국이 직접 요청한 인력 양성이다. 정부는 내년 예산 중 34억5000만원을 ‘마스터스 아카데미’ 운영에 투입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선박 설계 실무 교육, 조선소 생산 컨설팅, 기능장급 전문가 파견 등을 포함한 맞춤형 기술 교육으로, 용접 등 핵심 분야의 인재 육성에 초점을 맞춘다. 정부는 첫해 100명 규모의 수료생 배출을 목표로 잡았으며, 운영은 HD한국조선해양 등 국내 ‘빅3’ 조선사가 주도적으로 맡을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한미 조선 협력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한미협력센터’ 운영에 21억4000만원을, 현지 동향 분석 및 네트워킹에 8600만원을 배정했다. 센터는 미국 내 2개 거점에 설치될 예정으로, 대미 정책 방향 설정과 기업 지원을 총괄한다.
앞서 정부는 지난 1월 범부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한미 간 조선 협력 패키지를 마련해왔다. 이는 미국이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장벽을 높이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산업 협력을 통해 관세 타격을 최소화하려는 전략적 대응이었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국 조선업 부활과 산업 생태계 복원에 우리나라 조선 산업 기술력과 생산역량을 활용하는 한미 협력 상생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라며 "한미 조선사 간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기술 교류와 수주 기회를 확보해 국내 조선 기자재 기업의 대미 점유율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