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진행된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창용 한은 총재가 발언을 하고 있다. [출처=한국은행]
지난달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창용 한은 총재가 발언을 하고 있다. [출처=한국은행]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를 낮추면서, 한국의 금리 인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과 미국 간 금리 차이가 축소되면서 인하에 대한 부담이 완화됐으나, 환율 변동성·가계부채 규모·부동산 가격 추이 등이 금리 인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 금통위 회의는 10월 23일·11월 27일 등 올해 두 차례 회의를 남겨 놓은 상태로, 회의 결과에 따라 현 기준금리 유지 또는 인하가 결정된다.

앞서 지난달 28일 열린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 올해 7월에 이어 연 2.5%를 유지했다. 5월 회의에서 0.25%포인트(p) 낮춘 뒤, 2회 연속 동결 조치다.

동결 이유로 가계부채 증가, 부동산가격 상승을 지목한 금통위는 향후 추이를 살펴본 뒤 인하 시기를 결정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지난 18일 미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4.25~4.50%에서 4.00~4.25%로 0.25%p 낮췄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기 행정부 출범 후 첫 금리 인하로, 지난해 12월 이후 9개월 만에 이뤄진 조치다.

미 금리 인하에 한국과 금리차는 2%p에서 1.75%p로 축소됐고 이는 환율 변동성, 자본 유출 등 우려가 다소 완화된 것으로 평가되면서 한은 금통위에 시선이 모아진다.

8월 금통위 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시기와 폭 등은 경제전망의 불확실성이 크고 금융안정 측면에서의 리스크에도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는 만큼 향후 입수되는 데이터를 보면서 결정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6·27 부동산 대출 규제를, 한은은 7~8월 금리 동결로 가계부채와 집값 안정에 초점을 뒀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 8월 전월대비 0.48% 상승했다. 올해 6월 1.44%, 7월 1.09%와 비교하면 오름폭은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 18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63조3660억원으로, 지난달 말(762억8985억원)보다 4675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 평균 약 260억원 늘었는데, 8월 하루 평균 증가폭(1266억원)보다 약 80% 감소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 대출 포함) 잔액은 607조7043억원으로, 8월 말 대비 주담대는 329억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 한은의 금리 동결로 가계부채, 집값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미 연준 금리 인하 이후 원·달러 환율이 1400원 문턱을 넘보면서 10월 금통위 회의까지 외환당국의 대응 방향이 주목되고 있다.

10월 금리 인하를 건너뛰더라도, 11월 인하 가능성이 언급됐다.

23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황건일 한은 금통위원은 "금리 인하 추세는 맞다"며 "올해 시장에서 기대하듯이 한 번 정도는 (금리 인하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게 이번일지, 다음일지는 고민이 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외환 당국은 환율 수준보다는 변동성을 중점적으로 본다"며 "시장에서 외환 당국의 대응 능력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금리 동결에 따른 소상공인, 중소기업 등의 자금 유동성을 위한 대응으로 금중대(금융중개지원대출) 활용 방안을 내놓았다.

황 위원은 "자영업자 등의 어려움이 있으니 통화 정책 분야에서 금리 인하를 못할 경우에 비전통적인 수단으로 금중대를 활용해야 하는 것을 논의하고 있다"며 "지난 1월 금리를 내리지 못한 상황에서 금중대 규모를 한시적으로 늘린 사리가 있으머, 시대 상황에 맞게 정책을 해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