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KT]](https://cdn.ebn.co.kr/news/photo/202509/1679879_697065_2716.jpeg)
무단 소액결제와 서버 해킹 사고가 잇따른 KT가 신규 가입자 유치를 위해 휴대폰 보조금을 대폭 늘린 것으로 확인됐다. 소비자 신뢰 회복과 피해 수습보다 가입자 방어와 점유율 유지에 집중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24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KT는 아이폰17 시리즈가 출시된 지난 19일 오후 번호 이동 가입자 보조금을 최대 101만 원까지 끌어올렸다. KT가 전날인 18일 오후 11시 57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해킹 정황을 신고한 직후였다. 이 같은 행보는 해킹 피해 사실을 당국에 늦게 신고하고 공식 브리핑에서도 침해 사실을 숨겼다는 비판이 확산되는 와중에 벌어진 일이다.
서울 시내 한 휴대폰 판매점 관계자는 “일부 매장에서는 ‘KT 이동 대란’이라는 문구까지 걸고 영업을 했다”며 “보조금이 워낙 커서 고객이 오히려 현금 페이백을 받아가는 사례까지 있었다”고 전했다.
◇ 해킹 신고 하루 만에 보조금 살포
KT의 보조금 증액 효과는 곧바로 수치로 나타났다. 19일에만 1,328명이 순감했던 KT 가입자 수는 20일 689명 순증으로 돌아섰다. 이후 22일에도 339명 순증하며 다시 플러스 흐름을 보였다.
KT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9월 8일 무단 소액결제 사건을 KISA에 신고한 다음 날인 9일에도 번호 이동 고객을 대상으로 기존보다 10만~30만 원 높은 보조금을 지급했다. 업계에서는 “해킹 사건이 불거질 때마다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해 돈을 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 “가입자 방어보다 신뢰 회복이 우선”
일각에서는 KT의 이 같은 행보가 단기적 가입자 확보에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장기적 신뢰 회복에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IT 업계 한 관계자는 “KT가 해야 할 일은 피해 규모와 원인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고객 보호 조치를 강화하는 것”이라며 “해킹 공포가 커진 상황에서 다른 통신사와 보조금 경쟁을 벌이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KT의 무단 소액결제 사건은 펨토셀(초소형 기지국)을 통한 개인정보 탈취 정황에 더해 서버 해킹까지 드러나면서 피해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개인정보 유출과 복제폰 가능성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정부와 국회는 KT의 은폐·늑장 신고 의혹을 철저히 검증하겠다는 방침이다.
업계에서는 당분간 KT의 보조금 경쟁이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 신뢰를 잃은 상태에서 보조금만으로 가입자 방어에 성공하더라도 본질적 해결책은 될 수 없다는 점에서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