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시니어 고객이 쉽게 사용하고, 시니어 고객을 케어하는 ‘LG 이지 TV(LG Easy TV)’를 국내에 출시하며 시니어 TV 시장을 연다. 모델이 기본 장착된 카메라로 TV와 카카오톡 계정이 연결된 가족과 영상 통화를 하고 있다. [출처=LG전자]
LG전자가 시니어 고객이 쉽게 사용하고, 시니어 고객을 케어하는 ‘LG 이지 TV(LG Easy TV)’를 국내에 출시하며 시니어 TV 시장을 연다. 모델이 기본 장착된 카메라로 TV와 카카오톡 계정이 연결된 가족과 영상 통화를 하고 있다. [출처=LG전자]

글로벌 TV 시장 침체와 중국발 저가 공세가 맞물리면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생존 전략을 가다듬고 있다. 인력 구조 효율화와 신제품 출시를 동시에 추진하며 돌파구 마련에 나섰지만 중국 업체들의 거센 추격 속에서 고전이 불가피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가 시니어 고객을 위한 맞춤형 TV 'LG 이지(Easy) TV'를 출시한다. 1000만명을 넘어선 65세 이상의 노령층 시장을 창출해 TV 부문 침체를 돌파한다는 전략이다.

백선필 LG전자 TV상품기획담당은 지난 25일 신제품설명회에서 "고객센터에 접수된 시니어 고객의 TV 관련 문의 중 73%가 '사용 미숙 및 조작 어려움'이라는 점에 착안해 개발했다"며 "예전보다 어려워진 TV를 다시 쉽게 쓰면서 스마트 TV의 장점을 누리고 싶은 시니어가 1차 타깃 고객"이라고 설명했다.

LG 이지 TV는 쉬운 사용에 초점을 맞춘 제품이다. 홈 화면을 단순화하고 메뉴가 한눈에 들어오도록 디자인했으며 기존 대비 글자 크기를 키워 가독성을 높였다. 전용 리모컨 상단의 '헬프' 버튼을 세 번 누르면 가족에게 카카오톡 도움 요청 메시지가 발송된다. 카카오와 협업해 탑재한 'LG 버디' 기능을 통해 카카오톡 계정이 연결된 가족과 영상통화도 가능하다.

LG전자는 이번 제품을 시작으로 1인 가구, 신혼부부, 오피스족 등 세분화된 고객군을 겨냥해 새로운 수요를 발굴한다는 전략이다.

TV 사업 부진에 대응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조직 효율화에도 나섰다. LG전자의 TV 사업을 맡고 있는 미디어엔터테인먼트솔루션(MS) 사업본부는 올해 2년 만에 희망퇴직을 단행했다. 희망퇴직은 만 50세 이상 또는 저성과자를 대상으로 하며 최대 3년치 연봉의 위로금과  자녀 학자금을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TV 사업을 담당하는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에서 최근 엔지니어 일부를 타 부서로 전환 배치하는 등 인력 효율화에 나섰으며 VD사업부 경영진단에도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모델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을 집약한 마이크로 RGB TV를 소개하고 있다. [출처=삼성전자]
삼성전자 모델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을 집약한 마이크로 RGB TV를 소개하고 있다. [출처=삼성전자]

글로벌 TV 시장에서 삼성·LG의 점유율은 추락하는 반면 중국 업체들의 공세는 거세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출하량 기준 글로벌 TV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19.2%), TCL(13.7%), 하이센스(11.9%), LG전자(10.7%) 순이다.

프리미엄 시장에서도 위기감이 크다. 중국 업체들은 중저가 제품을 무기로 출하량을 늘리는 동시에 삼성·LG가 장악하던 프리미엄 TV 시장까지 위협하고 있다. 1분기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하이센스와 TCL의 합산 점유율은 39%로 전년 동기 대비 12%포인트 늘었지만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39%에서 28%로 하락했다.

점유율 하락과 덩달아 실적도 쪼그라들었다. LG전자 MS사업본부는 2분기 영업손실이 1917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 VD사업부의 영업이익도 1000억원 수준에 그쳤다.

중국 업체들의 한국 TV 시장 공략도 빨라지고 있다. TCL은 2023년 한국 법인을 세운 뒤 온·오프라인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하이센스도 쿠팡에서 TV를 판매 중이며 사후관리(AS)까지 제공하고 있다.

가전업계 관계자는 "중국 업체들은 가성비를 넘어 품질까지 개선하며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다"며 "TV를 포함한 가전 전반에서 한국 기업들이 방어선을 유지하기 어려워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